한·미 국가안보실장이 조속한 시일 내 한·미 정상회담 개최 필요성에 공감했다. 양측은 또 8월 1일 새로운 상호관세 부과 시점까지 무역 합의를 이루기 위해 긴밀히 소통해 나가기로 했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7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에서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 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과 한·미 안보실장 협의를 갖고 이같이 밝혔다고 정부 관계자가 밝혔다. 정부 관계자는 “우리 측은 조속한 시일 내 한·미 정상회담 개최를 통해 제반 현안에서 상호호혜적인 결과를 진전시켜 나가길 희망한다고 했다”며 “이에 대해 미측은 공감을 표했다”고 설명했다. 관계자에 따르면 미국 측은 또 한국을 포함해 주요국에 대한 관세 서한이 이날 발송됐으나 실제 관세 부과 시점인 8월 1일까지 시간이 있는 만큼 양국이 그 전까지 합의를 이루기 위해 긴밀히 소통해 나가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재명 대통령을 수신자로 한 서한에서 한국에 25% 상호관세율을 부과하며 8월 1일을 부과 시점으로 언급해 사실상 이 시점까지 협상 시한이 연장된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한·미 조선 협력과 관련해 양측은 정부, 업계 등 다양한 영역의 역량을 결집하는 것이 이 분야에서 실질적이고 상호호혜적인 협력 방안 도출에 있어 관건인 만큼 긴밀히 조율해 나가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정부 관계자는 “우리측은 한·미 간 현안 협상과 관련, 양국이 동맹 정신에 기초해 큰 틀에서 동맹을 더욱 강력하게 발전시키는 방향으로 협의해 나갈 필요성을 강조하고, 이를 위해 한·미 안보실장 간 긴밀히 협력해 나가길 바란다고 했다”고도 전했다. 또 “신(新)정부의 실용외교가 굳건한 한•미동맹에 기반해 있음을 강조했으며 양측은 지난 70여 년의 역사를 지닌 한·미 동맹이 변화하는 안보 환경 속에서도 더욱 단단해질 수 있도록 계속 긴밀히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고 언급했다.
관계자는 “양측은 한·미 안보실장 간 협의의 유용성을 평가하고 앞으로도 한·미 간 당면 현안과 한·미 동맹의 미래 발전 방향에 대해 계속해서 긴밀히 소통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루비오 장관은 해임된 마이크 왈츠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을 대신해 국가안보보좌관직을 겸임하고 있으며 트럼프 행정부에서 입각하기 전 상원 외교위에서 활동하며 한국 관련 이슈에도 목소리를 낸 적이 있는 지한파 의원으로 꼽힌 바 있다. 루비오 장관의 아시아 순방이 취소됨에 따라 위 실장이 미국을 방문했고, 코앞으로 다가온 관세 협상 시한을 앞두고 사안의 시급함을 고려해 안보실장 차원에서도 통상 이슈가 논의됐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