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제47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일본 '군함도'의 세계유산 등재 후속 조치 문제가 정식 의제로 다뤄지지 못하게 됐다.
7일(현지시간) 파리에서 열린 제47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유산위) 회의에서 군함도 문제를 정식 의제로 채택하는 안을 두고 21개 위원국들이 비밀투표를 진행한 결과 의제에서 제외하자는 의견이 다수를 점했다.
우리 정부는 일본의 군함도 세계문화유산 등재에 따른 후속조치가 여전히 미흡하다며 유산위에서 논의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이에 정부는 유네스코 사무국에 의제로 요청했고, 잠정 의제 목록에 군함도 문제가 올랐다.
반면 일본은 유산위 의제가 아닌 한일 양자 협의를 통해 논의해야 한다는 입장을 보이며 해당 안건을 제외하자고 역제안했다.
결국 한일간 이견이 좁혀지지 않으며 표결이 이뤄졌으나, 군함도 후속조치 문제는 정식 의제로 다뤄지지 못하게 됐다.
일본은 조선인 강제노역 현장인 군함도를 포함한 '메이지 산업혁명 유산'의 2015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 당시 약속했던 후속 조치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았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유산위는 2015년 7월 군함도 등 근대산업시설 23곳을 세계문화유산에 등재하기로 결정했다. 대신 일본 측에 조선인 강제동원을 비롯해 전체 역사를 이해할 수 있는 조치를 마련하라고 권고했다. 이는 한일 간 협상 결과로 일본도 수용했다.
그러나 일본은 등재 당시 약속했던 것을 이행하지 않았다. 전체 역사를 설명하기 위한 '산업유산정보센터'는 유산이 위치한 나가사키현이 아닌 도쿄에 설치됐으며 여기에서도 조선인 강제동원, 심각한 차별 등 피해자들이 겪었던 역사적 사실을 제대로 다루지 않았다.
이에 유산위는 2018·2021·2023년 일본의 후속 조치가 미흡하다는 취지의 결정문을 채택했다. 2021년 제44차 회의에서 이례적으로 일본 측에 "강한 유감"을 표명하기도 했다.
올해도 세계문화유산 등재 10주년을 기념해 나가사키시가 군함도 모습을 가상현실(VR) 영상으로 제작했으나, 조선인 강제노역에 관한 역사적 사실은 외면했다는 지적이 나왔다.
<뉴시스>뉴시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