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가만히 있으면 위험하다’ 부각하더니…임원들 방통위 ‘소집’에 갔다

입력 : 2025-07-07 19:04:23 수정 : 2025-07-07 19:04:22
김동환 기자 kimcharr@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SK텔레콤 ‘해지 위약금’ 면제에 공포 마케팅 고개
방송통신위원회, 불법행위 엄정 조치 계획 공표
서울 시내의 한 KT 매장에 SK텔레콤 번호이동 고객에 대한 위약금 면제 안내문이 붙어있다. 연합뉴스

 

SK텔레콤(SKT)의 사이버 침해 사고에 이은 ‘해지 위약금’ 면제 방침에 ‘공포 마케팅’이 고개를 들자, 방송통신위원회(방통위)가 이동통신 3사에 불법행위에 대한 엄정한 조치 계획을 공표한 것으로 알려졌다.

 

7일 이통 업계에 따르면 방통위는 이날 오전 이통 3사 마케팅 임원을 소집해 진행 중인 실태 점검에 대해 불법행위 적발 시 조사 등 관련 조처를 공표한 것으로 전해졌다. 방통위는 이통 3사의 허위과장광고 등 이용자 피해를 유발하는 과도한 마케팅 실태를 점검 중이다. SKT의 해지 위약금 면제 방침에 이탈자 유치를 위한 KT와 LG유플러스의 공격적인 마케팅에 따른다.

 

앞서 SKT가 해지 위약금 면제를 알린 후, 이통 업계에서는 SKT 이탈 고객을 끌어 모으기 위한 일종의 공포 마케팅이 펼쳐졌다. ‘가만히 있는 게 가장 위험한 선택’이라거나 ‘결정을 미루면 비용으로 돌아온다’ 등 일종의 세일즈 대본까지 공개됐다.

 

유영상 SK텔레콤 대표이사가 지난 4일 오후 서울 중구 SK텔레콤 본사에서 사이버 침해 사고 관련 입장과 향후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뉴시스

 

지난 5월에는 LG유플러스의 한 대리점이 SKT 해킹 관련 집단소송 신청을 대행해준다는 마케팅으로 논란이 됐고, KT는 유통망 고객 대응 시나리오에 ‘지금 번호가 우리 아이에게 위험할 수 있다’, ‘SKT가 위약금 없이 보내주는 이유는 ‘우린 막을 수 없다’는 구조 신호다’ 등 멘트를 포함한 영업 활동이 알려진 터다.

 

SKT는 방통위의 엄정 대응 방침에 KT의 불법 보조금 살포와 소비자 불안감을 조성하는 마케팅 행태를 조사해달라는 신고서를 방통위에 제출했다. SKT의 위약금 면제 발표 후 첫날인 지난 5일 SKT 가입자는 3865명 순감했다.


김동환 기자 kimcharr@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김민 ‘매력적인 미소’
  • 김민 ‘매력적인 미소’
  • 아린 '상큼 발랄'
  • 강한나 '깜찍한 볼하트'
  • 지수 '시크한 매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