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이진숙 후보자, 교육수장 적임 이유 보여줘야 [현장메모]

관련이슈 현장메모

입력 : 2025-07-07 19:44:05 수정 : 2025-07-07 19:44:04
김유나 사회부 기자

인쇄 메일 url 공유 - +

새 정부에서 지명된 장관 후보자 중 최근 언론에 가장 많이 오르내리는 사람은 이진숙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다. 연일 이 후보자의 논문 관련 의혹 등이 쏟아지고 있다.

이 후보자에게는 도덕성 검증만큼이나 중요한 과제가 있다. ‘이런 의혹에도 불구하고’ 장관이 돼야 할 이유를 설명하는 것이다. 이 후보자는 대학 총장 경력이 있지만 교육부 업무의 상당수를 차지하는 유·초·중등 교육 업무에 대해선 경험이 전무하다. 평소 발언에서 교육적 소신도 찾아보기 어렵다.

 

김유나 사회부 기자

곧 열릴 인사청문회에서도 이런 비전은 듣기 어려울 것 같다. 이 후보자는 최근 쏟아지는 의혹에 ‘청문회에서 답변하겠다’며 입을 다물고 있어 청문회는 의혹 소명에만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장관은 정무적 자리인 만큼 정통 전문가만 올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교육 철학이 전혀 보이지 않는 인사 지명은 이재명정부의 ‘실용주의’ 인사 기조와 맞지 않아 보인다. 이 후보자가 ‘서울대 10개 만들기’ 공약에 일조했다고는 하나 그보다는 ‘여성 장관 30% 이상’ 약속이 지명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는 생각을 지울 수 없다.

이는 윤석열정부의 초대 교육부 장관이었던 박순애 전 부총리 지명 상황과 유사하다.

행정학과 교수 출신인 박 전 부총리가 교육부 수장이 된 데는 ‘여성’이란 점이 가장 크게 작용했다. 그는 ‘만 5세 입학’ 정책으로 논란을 빚다 한 달 만에 사퇴했는데, 현장 반발이 큰 설익은 정책이 발표된 것은 박 전 부총리가 유·초등 교육 경험이 없었기 때문이란 분석이 나왔다. 교육 정책이 학부모·학생에게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지 헤아리지 못했다는 것이다.

여성 직장인으로서 여성 고위공직자가 늘어나는 것은 환영한다. 하지만 여성 장관을 늘려야 한다는 얘기는 전문성이 있음에도 여성이란 이유로 배제된 이들을 기용해야 한다는 것이지, ‘여성이어서’ 써야 한다는 얘긴 아니다. 이 후보자는 ‘왜 장관이 되어야 하는지’ 보여주길 바란다.


김유나 사회부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임윤아 '심쿵'
  • 임윤아 '심쿵'
  • 김민 ‘매력적인 미소’
  • 아린 '상큼 발랄'
  • 강한나 '깜찍한 볼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