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전국민 지급이라더니?”…‘민생회복지원금’ 클릭하면 벌어지는 일

관련이슈 이슈플러스

입력 : 2025-07-08 05:00:00 수정 : 2025-07-08 05:26:00

인쇄 메일 url 공유 - +

‘지원금 신청’ 위장, 유료 서비스 광고…포털 검색 상단 버젓이 노출

민생회복지원금 관련 정보글인 척하며 사용자를 유료 서비스로 유인한 사례가 적발됐다.

 

기사 특정내용과 무관. Pixabay

8일 방송통신위원회에 따르면 최근 네이버 등 주요 포털 사이트에서 ‘민생회복지원’을 검색하면 관련 제목의 블로그 게시물이 검색 상위에 노출되고, 이를 클릭할 경우 전혀 무관한 유료 부가서비스 가입 페이지로 연결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실제 ‘민생회복지원금 바로 안내’, ‘전국민 민생회복지원금 신청’ 등의 제목을 단 게시물을 열어보면 ‘신청하기’ 버튼이 눈에 띄게 배치돼 있다. 이를 누르면 지원금과는 무관한 유료 서비스 가입 절차로 넘어가게 된다.

 

◆‘신청하기’ 버튼 클릭 유도…본인 확인 가장해 개인정보 요구

 

이 과정에서 이용자에게 휴대전화 번호와 인증번호 입력을 요구해 마치 정부 지원금 신청을 위한 본인확인 절차로 오인하게 만든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된다.

 

방통위는 “이 같은 광고는 이용자를 유인하기 위해 약정 조건이나 서비스 내용을 사실과 다르게 전달하는 것으로, 전기통신사업법 시행령상 금지된 유형에 해당할 가능성이 높다”며 해당 광고 게시 업체에 즉각적인 중단을 요청했다고 밝혔다.

 

향후에도 불법 광고가 계속될 경우 사실조사 등 강력 대응에 나설 방침이다.

 

◆전문가들 “지원금 관련 정보, 공식 채널 통해 확인해야”

 

전문가들은 “최근 민생회복지원금, 재난지원금 등 정부 지원 정책을 사칭한 기만적 광고가 급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최근 ‘민생회복지원금’ 신청·안내 사이트로 위장해 이용자를 유료 서비스에 가입시키는 사례가 다수 발견돼 주의가 요구된다. 클립아트코리아

그러면서 “포털 검색 결과 상단에 노출되는 블로그 글이나 배너 광고를 통해 ‘신청하기’를 유도하는 수법은 일반 이용자가 정부의 공식 절차로 착각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러한 사칭 광고는 명백한 불법 행위로 피해가 우려된다”며 “정부 지원금 관련 정보는 반드시 공공기관의 공식 홈페이지나 보도자료를 통해 확인하고, 의심스러운 사이트에서는 개인정보를 절대 입력하지 말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현주 기자 hj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아린 '상큼 발랄'
  • 아린 '상큼 발랄'
  • 강한나 '깜찍한 볼하트'
  • 지수 '시크한 매력'
  • 에스파 닝닝 '완벽한 비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