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오픈AI “한국 법인 설립”

입력 : 2025-05-26 20:50:35 수정 : 2025-05-26 20:50:34

인쇄 메일 url 공유 - +

韓 챗GPT 유료구독자 세계 2위
“몇 달 내 서울에 사무소 개설”
아시아서 세번째로 공식 진출
정치권 만나 AI 정책도 논의

생성형 인공지능(AI) 챗GPT 개발사인 미국의 오픈AI가 한국 법인을 공식 설립하고 서울에 첫 사무소를 연다고 26일 발표했다. 아시아에서는 세 번째 지사 설립이다.

오픈AI는 이날 “향후 몇 달 내 서울에 사무소를 개설할 계획으로 현재 인력을 채용 중”이라며 “첫 한국 사무소 개설을 통해 일반 사용자, 기업, 개발자뿐만 아니라 정부와 파트너십을 더욱 잘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제이슨 권 오픈AI 최고전략책임자(CSO)가 26일 서울 시내 한 호텔에서 열린 미디어 라운드테이블 행사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오픈AI는 아시아에서 일본 도쿄와 싱가포르에 지사를 운영하고 있다. 세계적으로는 최근 1년간 영국 런던, 아일랜드 더블린, 프랑스 파리 등 11개 도시로 지사를 확대했다. 오픈AI가 한국을 택한 이유는 높은 성장 가능성 때문이다. 오픈AI는 “한국은 세계에서 가장 AI 도입이 활발한 국가 중 하나”라고 평가했다.

이 회사에 따르면 한국은 미국 다음으로 가장 많은 챗GPT 유료 구독자를 보유하고 있다. 최근 1년간 한국 내 주간 활성 챗GPT 사용자 수는 4.5배 늘었다. 한국의 전체 챗GPT 사용자수는 세계 10위권에 든다. 유료 기업 서비스 사용자수 역시 세계 상위 5위권이고, 오픈AI 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플랫폼을 활용하는 개발자 수는 세계 10위권 이내다.

한국 기업과 협업도 활발하다. 오픈AI는 한국 공식 진출 전 한국산업은행(KDB)과 금융 협력을 발표했다. 카카오, 크래프톤, SK텔레콤과도 첨단 AI 기술 도입에 관한 파트너십을 맺었다.

오픈AI는 “한국에서의 이러한 성장 모멘텀은 오픈AI가 한국 내 입지를 확대하고자 하는 의지를 더욱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제이슨 권 오픈AI 최고전략책임자(CSO)는 “한국은 반도체부터 소프트웨어까지 AI의 전 영역을 아우르는 ‘풀 스택’ 생태계를 갖췄으며, 학생부터 노년층까지 다양한 세대가 AI를 일상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AI 선도국”이라며 “한국에서 모두가 체감할 수 있고 의미 있는 AI 혜택을 제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권 CSO는 이날 국민의힘, 더불어민주당 대선 중앙선거대책위원회 AI 정책 관계자들과 각각 만나 국가 AI 인프라 확대에 오픈AI가 협력할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 회사는 최근 대규모 AI 인프라를 구축하는 프로젝트인 ‘스타게이트’를 해외로 확장하는 내용의 ‘오픈AI 포 컨트리즈’를 발표한 바 있다.


송은아 기자 sea@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아린 '상큼 발랄'
  • 아린 '상큼 발랄'
  • 강한나 '깜찍한 볼하트'
  • 지수 '시크한 매력'
  • 에스파 닝닝 '완벽한 비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