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통상 수장이 양국 관세 협의를 위한 주요 틀을 잡고 다음주부터 본격적인 협의에 나선다. 우리나라는 미국 주요 산업에 중요한 파트너가 될 수 있다는 장점을 관세 협의 과정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할 방침이다.
16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안덕근 산업부 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는 이날 제주국제컨벤션센터(ICC)에서 양자 면담을 열고 미국 관세 조치 관련해 앞으로 어떻게 협의를 이어나갈지 논의했다. 안 장관은 그리어 대표와 회담 후 간담회를 열고 “균형 무역, 비관세 조치, 경제안보, 디지털 교역, 원산지, 상업적 고려 6개 분야를 중심으로 본격적인 협의를 실시할 예정”이라며 “미국이 중국을 포함해 19개 국가와 협의를 진행하며 규격화한 협의 틀”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모든 국가가 6개 분야에 이슈가 있어서는 아니고 국가마다 중요한 협의 분야가 다를 수 있다”며 “우리나라가 협의해야 할 구체적인 안도 다음주 기술협의에서 논의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안 장관은 미국산 농산물 수입 확대를 예로 들며 “이 같은 구체적인 요청을 미국 측으로부터 받은 적이 없어 미국이 분야별로 무엇을 요구하는지 확정짓는 단계부터 기술협의에서 시작하려 한다”고 덧붙였다.
기술협의를 위해 산업부 통상정책국장을 수석대표로 한 정부대표단이 방미할 예정이다. 산업부 외에도 기획재정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농림축산식품부 등이 협의에 이슈별로 참여한다.
앞서 관세 협상에서 주요한 의제로 거론됐던 조선산업 협력, 미국산 액화천연가스(LNG) 수입 확대나 알래스카 가스 개발 등 에너지 분야 조치는 직접적인 관세 협상 의제가 아닌 산업협력 방안으로 이슈별 논의를 진행한다. 안 장관은 “산업협력 이슈는 별도로 다루고 있고 나중에 이 협력 패키지를 가지고 미국이 배려하게 하려 한다”며 “미국과 영국 협상 결과를 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원스톱쇼핑’이라고 모든 이슈를 묶어서 타결했듯이 우리도 ‘줄라이 패키지’를 완성해서 타결할 때 같이 여러 이슈가 논의되지 않을까 한다”고 예상했다.
한·미는 지난 4월24일 미국 워싱턴에서 ‘2+2’ 고위급 협의를 열고 국내 정치적 상황 등을 고려해 미국의 상호관세 유예 기한인 7월8일까지 포괄적 합의안인 줄라이 패키지를 도출하자고 합의한 상태다. 안 장관은 “협상 타결이 시한보다 길어질 수는 있지만 현재는 최대한 맞추려 한다”며 “미국이 여러 국가와 협상하면서 진도가 잘 나가지 않아 유예기간을 연장할지, 유예기간이 끝났다고 상호관세를 그냥 부과해버릴지 우리가 예단할 상황은 아니다”라고 했다.
그리어 대표 역시 우리나라가 대선을 앞두고 있는 상황을 이해하고 있다고 재차 전한 안 장관은 “미국 정부가 설정한 협의 시한이 50여일 앞으로 다가왔다”며 “저희는 다음 정부에 미국과의 협상 내용을 신속하게, 원만히 잘 전달해서 잘 연계하도록 생각하고 있고 이를 위해 중요한 협의 대목마다 국회 양당과도 긴밀히 소통 중”이라고 밝혔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