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오일머니 챙긴 트럼프 “중동에 더는 개입 안 해”

입력 : 2025-05-15 19:16:37 수정 : 2025-05-15 19:16:37

인쇄 메일 url 공유 - +

사우디 투자 포럼 연설서 선포
적극 개입 대신 중재자 역할 선회
일각선 인권 침해 등 외면 우려도

美·카타르, 1.2조弗 경제교류 합의
보잉·카타르항공 960억弗 계약도
美매체 “실제 금액 적을 것” 지적

중동 순방 중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동 국가의 일에 더는 개입하지 않겠다고 선포해 아랍 국가 주요 인사들로부터 ‘기립 박수’를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트럼프 대통령이 중동에서 경제적 이익을 챙기고 표면적인 ‘중재자’ 역할은 하되 적극적 개입은 하지 않는 것으로 미국의 중동 정책이 선회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AFP연합뉴스

미 일간 뉴욕타임스(NYT)는 14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이 전날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열린 투자 포럼 연설에서 미국은 더 이상 다른 국가의 재건이나 개입을 하지 않을 것이라며 더 이상 중동 국가들에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에 대해 훈계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의) 개입주의자들은 자신들이 이해조차 하지 못하는 복잡한 사회에 간섭을 해왔다”며 “자신의 운명은 자신의 방식대로” 해야 한다고도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연설을 마치고 청중들로부터 기립 박수를 받았다.

NYT는 이날 연설 영상이 중동 여러 국가에서 사회관계망서비스(SNS)상에 빠르게 퍼지며 화제가 되고 있다고 전했다. 이라크 전쟁,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 등 중동의 핵심 사안마다 이뤄져 온 미국의 개입에 반감을 갖고 있던 일부 주민과 중동의 지도자들이 이를 반기고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트럼프 행정부가 앞으로 중동의 인권 침해 등의 사안까지 눈감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조 바이든 전 대통령이 2018년 정부 비판적 사우디 언론인 자말 카슈끄지 살해 사건을 언급했던 것과 달리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카슈끄지 살해 사건의 책임이 있는 빈살만 사우디 왕세자와 화기애애한 분위기를 연출한 바 있다.

대신 트럼프 대통령은 2기 첫 중동 순방에서 ‘오일 머니’를 쓸어담고 있다. 전날 사우디아라비아에서 6000억달러(약 836조원) 규모의 투자 및 수출 합의를 한 데 이어 이날 카타르 방문에서 최소 1조2000억달러(약 1678조원) 가치의 경제교류를 창출하는 합의에 서명했다. 미·카타르 정상회담 뒤 보잉과 GE에어로스페이스가 카타르항공과 960억달러(134조원) 규모의 계약을 체결했다. 백악관은 “이 역사적인 계약은 미국에 연간 15만4000개의 일자리를 지원할 것이며 생산과 인도의 전 과정에 걸쳐 미국에 100만개 이상의 일자리를 지원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오른쪽)과 알사니 카타르 국왕. AFP연합뉴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과시와 달리 실제 계약의 규모는 이보다는 작다는 미국 언론의 분석도 제기된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카타르항공과 보잉의 계약과 관련해 계약 기간이 명시되지 않았고, 항공사가 통상적으로 항공기를 구매할 때 할인을 협상하는 만큼 실제 계약 금액은 공개된 960억달러보다 낮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NYT는 전날 백악관이 공개한 사우디와의 6000억달러 사업 계약도 실제로는 절반 정도 수준인 2830억달러(331조1700억원) 정도라고 분석했다. 백악관이 사후 배포한 자료를 보면 수치가 불분명하고, 트럼프 2기 행정부 이전에 이미 진행 중인 사업도 일부 포함됐다는 것이다.

15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중동 순방과 관련해 중국과 ‘영향력’ 경쟁을 벌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사우디 국영방송 알 에크바리에 따르면 미국과 사우디의 이번 투자 협정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2022년 방문했을 당시 체결한 총 300억달러(42조원) 규모의 협정보다 규모가 훨씬 컸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이번 미국의 발표가 ‘약정 수준’에 머물고 있으며, 중국이 오랜 시간에 걸쳐 쌓아온 중동 내 입지를 단숨에 흔들기에는 부족하다는 분석을 하고 있다. 사우디와 걸프협력회의(GCC) 국가들이 미국의 기술과 자본에 주목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중국과의 경제 협력까지 후퇴시키려고 하지는 않는다는 얘기다. 중국은 이미 인프라, 제조업, 디지털 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동과의 협력을 공고히 해왔다


워싱턴·베이징=홍주형·이우중 특파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이민정 '반가운 손인사'
  • 이민정 '반가운 손인사'
  • 이즈나 정세비 '빛나는 미모'
  • 송지효 '바다의 여신'
  • 김다미 '완벽한 비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