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美 “北, ICBM 2035년까지 50기 보유할 듯”

입력 : 2025-05-15 06:00:00 수정 : 2025-05-14 22:36:06
박수찬 기자 psc@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국방정보국, 미사일 위협 보고서
美전역 도달 가능 ICBM 성공시험
현재 10기는 핵탄두 탑재 가능

북한이 2035년까지 핵탄두 탑재가 가능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50기를 보유할 수 있다는 미국 군사 정보기관의 분석이 나왔다.

미국 국방정보국(DIA)은 13일(현지시간) 미국 본토에 대한 미사일 위협 평가 보고서에서 “북한은 미국 전역에 도달할 수 있는 충분한 사거리를 지닌 탄도미사일들을 성공적으로 시험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북한이 지난해 11월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참관한 가운데 시험 발사한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19형’. 연합뉴스

DIA에 따르면 북한이 보유한 ICBM은 10기 이하로 추정된다. 하지만 향후 10년간 약 40기를 더 만들 가능성이 있다고 DIA는 관측했다. DIA는 “ICBM은 일반적으로 하나의 핵탄두나 다수의 핵탄두를 탑재할 수 있다”며 “ICBM으로 타격할 수 없는 미국 본토 지역은 없다”고 지적했다.

그레고리 기요 미군 북부사령관은 이날 연방 상원 군사위원회 청문회에 앞서 제출한 서면 보고서에서 “북한은 국제 비확산 체제를 무시하고 전략 무기 프로그램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신형 ICBM을 둘러싼 북한 정권의 레토릭(수사)은 김정은이 전략 무기프로그램을 연구·개발 단계에서 양산 및 배치 단계로 전환하려는 의지가 강함을 시사한다”며 “이 과정에서 북한의 무기 재고가 빠르게 늘 수 있고, 향후 몇 년 안에 북부사령부의 탄도미사일 방어에 대한 나의 신뢰를 축소할 수 있다”고 말했다.

기요 사령관은 북한의 신형 ICBM인 화성-19형에 우려를 드러냈다. 북한이 지난해 10월31일 처음 시험 발사한 화성-19형은 기존 화성-18형보다 추진력 등이 향상됐다고 평가된다. 그는 “화성-19형은 고체연료를 사용해 발사 준비 기간이 짧기 때문에 우리가 발사 전 경고를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축소하면서 북미 전역의 목표에 핵 탑재물을 가져갈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기요 사령관은 북한을 중국·러시아·이란과 함께 미국의 주요 적국으로 규정하며 “미국이 이 주요 적국 4곳 중 하나와 직접 충돌할 가능성이 증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중국, 러시아, 북한, 이란은 모두 미국과의 무력 충돌을 피하려고 하지만, 서방의 쇠퇴에 대한 인식은 이들 국가가 글로벌 무대에서 미국에 도전하려는 의지를 강화하고 위기 상황에서의 오판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고 밝혔다.

기요 사령관은 우크라이나 전쟁 뒤 밀착을 강화해온 북한과 러시아에 대한 우려도 드러냈다. 그는 북한의 우크라이나 전쟁 파병은 “이들 파트너(북한과 러시아)가 자신들의 전략적 입지를 강화하고 서방 주도의 국제 질서에 도전하기 위해 어디까지 갈 준비가 돼 있는지를 보여준다”고 말했다.


박수찬 기자 psc@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임윤아 '심쿵'
  • 임윤아 '심쿵'
  • 김민 ‘매력적인 미소’
  • 아린 '상큼 발랄'
  • 강한나 '깜찍한 볼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