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의원, TK 간 金 동행해 설득
의총선 “조속한 매듭을” 의견 분출
金측 “당이 예우 안 해… 허수아비
마감 직전 전대 개최 이유 밝혀라”
국힘, 대선 때마다 ‘용병’ 앞세우기
일각 “당내 권력투쟁 치중 탓” 진단
제21대 대통령선거 후보 등록 마감일(11일)을 불과 닷새 앞두고, 국민의힘이 심각한 혼선에 빠졌다. 대선후보로 선출된 김문수 후보와 무소속 한덕수 예비후보 간 단일화 협상이 위기 국면에 접어든 탓이다. 당초 조속한 단일화를 강조하던 김 후보 측의 움직임이 최근 들어 소극적으로 전환되자, 당 안팎에서 불만이 터져 나왔다. 김 후보 측은 이에 대해 “‘정당하게 선출된 후보’를 흔드는 행위”라고 반발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이번 혼선이 보수정당의 정치철학이나 노선이 아닌, 당내 권력투쟁에 치중한 결과라는 지적도 제기된다.

국민의힘 의원들은 6일 다양한 방식으로 단일화 압박에 나섰다. 김대식·엄태영 의원이 초·재선을 대표해 TK(대구·경북)를 방문 중인 김 후보를 따라 내려가 단일화를 설득했고, 김 후보와 일정을 같이한 이철우 경북도지사 등도 후보 단일화의 필요성을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이용한 공개적인 호소도 이어졌다. 조지연 의원은 “지금은 무도한 이재명 세력에 맞서 싸울 때”라며 “나라가 위태롭고 분열할 여유가 없다. 역사의 죄인이 되지 말자”고 말했다. 윤희숙 여의도연구원장은 “국민의힘은 좌고우면하지 말고 당장 단일화 절차를 개시해야 한다”고 했다. 오후 2시 벌어진 의원총회에서도 김 후보를 설득해 조속한 단일화에 나서야 한다는 의견이 분출된 것으로 알려졌다. 윤 원장은 “만약 ‘판’이 깔렸는데도 김 후보가 참여하지 않는다면 그간 거짓으로 당원을 기만해 경선을 통과한 것이니 마땅히 교체해야 한다”고 말했다. 다만 의총장 내부에서는 김 후보를 설득하는 방향으로 의견이 모였다는 후문이다.
이에 김 후보 측은 당이 대선후보로서 김 후보를 적절히 예우하지 않고 있다며 반발했다. 김재원 후보 비서실장은 라디오 인터뷰에서 “대선후보로 선출이 되었는데 당에서 어떠한 지원도 받지 못하고 있고 김 후보는 임명장 하나 주지 못하고 있다”며 “경선 기간 내내 ‘일회용 후보’다, ‘허수아비 후보’다, ‘3일 지나면 한 후보에게 넘겨준다’ 이런 논란으로 굉장히 선거에 장애가 많았다. 그러다 보니 갈등이 심해지는 것 같다”고 말했다. 김 후보는 당이 이날 후보등록 마감일 직전 전당대회를 여는 것에 대해 개최 이유를 밝혀 달라는 입장문을 공개적으로 발송했다.


후보와 당의 갈등을 놓고 비판이 쏟아진다. 한 국민의힘 중진의원은 통화에서 “김 후보 측 인식이 굉장히 자기중심적인데, 당 지도부도 정치력을 사전에 발휘했어야 했다”며 “물밑에서 서로 대화를 했었어야 하지 않았느냐”고 말했다. 한 재선 의원은 “창피해 죽겠다”고 말했다.

이번 혼선은 보수정당 내부의 철학 부재와 정치인 육성 실패가 빚어낸 결과라는 지적도 있다. 2017년 대선 당시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을 영입하려던 ‘추대론’부터, 선거 때마다 지지율 높은 외부 인사에 의존해온 당내 기류가 현재 사태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김 후보는 2020년 국민의힘 전신인 자유한국당을 탈당해 자유통일당 대표를 지내다 최근 입당했고, 한 후보 역시 정당 경력이 없다. 최창렬 용인대 특임교수는 이날 세계일보와의 통화에서 “정당이라고 하면 ‘정치적 결사체’인데 지금 국민의힘 정당 구성원이 보여주는 모습은 ‘이익의 결사체’ 같다”며 “당내에서 정치인을 키우기보다는 줏대 없이 지지율에 춤추는 ‘용병’만 데리고 와서 정치를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민현주 전 의원은 통화에서 “지금 국민의힘은 공당으로서 정당성을 잃었다. ‘정치’를 하는 게 아니다”며 “이 당은 당이 아니다”고 비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