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 속도조절 움직임에 파열음
선거 공보물 발주 기한 내일로 마감
당 지도부, 조기 단일화 압박 속
金 “내게 당무 우선권” 대립 팽팽
단일화 대상·방식도 변수로
이재명과 1:1 여론조사 방식 유력
적합도냐 지지도냐 두고 진통 가능성
이준석·이낙연 합류 여부도 아직 모호
‘반(反)이재명 빅텐트’는 일주일 안에 펴질 수 있을 것인가.
순탄하게 흘러갈 것으로 보이던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 무소속 한덕수 예비후보 간 ‘보수진영 단일화’ 협상이 삐그덕거리는 모양새다. 대선 후보에게 주어지는 ‘당무우선권’을 김 후보가 적극 사용하려는 모습을 보이면서다.

김 후보를 지원했던 주류들은 이러한 김 후보 측 움직임이 사실상 단일화를 미루려는 술책이라고 보고 거세게 반발했다. 2021년 말 20대 대통령 선거과정에서 윤석열 당시 후보와 국민의힘 이준석 대표 간에 당무우선권을 두고 벌어졌던 다툼이 3년6개월 만에 재연되고 있다.
6·3 조기 대선이 채 한 달도 남지 않은 가운데, 승부의 핵심 변수인 두 후보 간 단일화와 반명 빅텐트 구상이 안갯속에 빠지고 있다.
5일 하루 종일 국민의힘과 김 후보 측, 한 후보 측 모두 팽팽한 긴장감 속에 움직였다. 갈등의 발단은 김 후보가 조기 단일화를 주장해 온 이양수 사무총장을 장동혁 의원으로 교체하려 한 데서 비롯됐다.

김 후보는 당헌 74조의 당무우선권을 사용한 행동이었다고 했지만 당 지도부는 사실상 이를 김 후보가 후보 등록일(11일) 이전에 단일화를 마무리하지 않으려는 신호로 받아들였다. 대선 살림을 총괄하는 사무총장을 바꾸려고 한 것 자체가 승리 의지가 없다는 것이다. 지도부 측 한 인사는 “비상식적인 일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반면 김 후보 측 관계자는 “사무총장 교체는 단일화 (논의) 이전부터 있었다”고 반박했다. 저녁에 있었던 국민의힘 의원총회에서 조기 단일화 여부를 놓고 격론이 오간 것으로 알려졌다.
양측의 시선이 갈라지는 이유는 이번 단일화에서 ‘시간’이 가장 중요한 변수이기 때문이다. 당초 국민의힘 당 지도부는 단일화 시한 데드라인을 7일로 잡았었는데, 이는 선거 공보물을 만들 업체를 발주하는 기한이기도 했다. 한 정치권 관계자는 “선거 시작이 들어가면 선거 공보물, 유세차 제작, 벽보 등 숱한 곳에 돈이 들어간다”며 “제2당인 국민의힘에서 대선 후보가 된 김 후보로서는 당 자금을 쓸 수 있는 반면, 한 후보는 자비로 충당해야 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20대 대선 당시 국민의힘은 선거관리위원회로부터 194억원의 선거보조금을 지원받았다. 무소속인 한 후보로선 협상이 늦어질수록 불리하다. 한 후보 측은 빠른 단일화를 추구한다. 한 후보 측 이정현 대변인은 오전 기자들과 만나 “(단일화에 대한) 원칙적인 접근이 이뤄진다고 한다면 당이 급진적으로 하면 된다”며 “(단일화 과정이) 결정된 건 없고, 한 후보는 그 부분에 대해서 일임한다고 말했기 때문에 큰 어려움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당 내에서는 김 후보 측이 주장하는 ‘원샷 단일화’를 놓고도 비판적 시선이 나온다. 김 후보는 한 후보 이외에 개혁신당 이준석 대선 후보, 이낙연 전 국무총리 등을 대상으로 단일화 대상으로 언급하고 있는데 두 사람 모두 명확한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찬성 인사로 ‘반탄(탄핵반대)’파인 김 후보와는 연대 가능성이 높지 않다. 앞서 김 후보는 안철수 의원의 ‘계엄·탄핵에 대한 공식 사과 요청’에 “안 의원과 좀 더 얘기해서 적절한 시점에서 적절히 같이 의견을 모으도록 하겠다”며 즉답을 피했다. 개혁신당은 이날 “상한 물건은 사지 않겠다고 수없이 밝혔음에도 강매하는 것은 명백한 범죄”라고 반박했다. 이 전 총리 측도 윤 전 대통령과의 ‘절연’ 없이는 협상 테이블에도 앉을 수 없다는 입장이다.

단일화 합의를 할 경우 단일화 ‘방식’이 어떻게 될 것인지도 관건이다. 가장 유력한 방식은 한 차례 토론 후 유력한 경쟁상대인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와의 1:1 여론조사를 통한 방식이 될 공산이 크다. 이 경우 여론조사를 어떤 방식으로 할지를 두고 양측 간 협상이 아직 시작되지 않았다. 2002년 노무현-정몽준, 2012년 문재인-안철수 후보 간 단일화 협상 때에도 상대 후보 대비 ‘적합도’를 물어볼지, ‘지지도’를 물어볼지를 놓고 협상 과정 내내 진통을 겪었고, 안 후보는 결국 후보등록 직전에 직을 사퇴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