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업성취 수학·과학 2위 등 ‘우수’
여가생활·자주성 30위권 밖 대조
우리나라 중학생의 학업성취도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최상위권이지만 교우관계와 자주성은 꼴찌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5일 한국교육개발원(KEDI)이 최근 발간한 ‘중등학교 인문교양 수준의 국제 비교 결과’ 보고서를 보면 국제학업성취도평가(PISA) 2022 데이터를 기반으로 OECD 37개국 15세 청소년의 인문교양 교육 수준을 분석했을 때 한국은 ‘교우와의 관계’가 36위로 최하위다. 다만 ‘교사와의 관계’는 1위였고, ‘부모와의 관계’는 12위를 기록했다.

한국은 삶의 향유 영역에서도 대부분 최하위권에 속했다. 구체적으로 ‘일상생활’은 27위, ‘여가생활’ 36위, ‘진로탐색’ 29위였다. 협업 영역에서는 ‘신뢰’ 2위, ‘공감’ 12위, ‘협력’ 26위로 세부 영역별 차이가 컸다. 자아정체성 중 ‘독립성’은 2위였으나 ‘주체성’은 20위, ‘자주성’은 33위로 하위권에 머물렀다. 감정 조절 영역은 ‘감정 표현’ 12위, ‘회복탄력성’ 19위로 다소 낮은 편이었다.
한국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는 매우 우수했다. 영역별로 수학 2위, 과학 2위, 국어(읽기) 3위였다.
보고서는 “우리나라 학생들은 예상대로 학업 성취에서는 우수한 결과를 보였으나 관계 형성과 주체적 자아실현 부분은 매우 낮은 수준”이라며 “협력적 학습 환경과 정서적 지원 체계의 강화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