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SKT)은 4일 고객 유심(USIM) 정보 유출 사태에 따른 보호 조치와 관련해 ‘유심보호서비스’ 가입자가 이날 중 2000만명을 넘어설 것이라 밝혔다.
김희섭 SKT PR센터장은 이날 서울 중구 삼화타워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유심보호서비스는 자동 가입하고 있기에 현재 1991만명이 가입했고 오늘(4일)을 지나면 2000만명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SKT는 지난 2일부터 고객이 별도로 신청하지 않아도 유심보호서비스에 가입할 수 있도록 이용약관을 신고했다고 밝힌 바 있다. 우선 가입 대상은 고령층 등 디지털 취약계층이다.
현재 전체 가입자 중 자동 가입 비중이 90%에 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자동 가입이 완료된 고객에게는 해당 내용을 알리는 문자가 발송된다.
김 센터장은 “유심 교체는 어제(3일)까지 95만6000명이 했고, 그렇게 많지는 못하지만 최대한 적용하려 하고 있다”며 “공항 로밍 센터에 나가 있는 게 많아서 그쪽에 최대한 지원하는 중”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유심 교체 예약 신청의 경우 하루에 20만명 정도 신청하고, 현재까지 760만명 정도 된다”고 덧붙였다.
SKT는 연휴를 맞아 출국 인원이 가장 많을 것으로 예측됐던 전날 공항에서 교체된 유심 수량은 2만개가량이라고 밝혔다. 전날 브리핑에서 SKT는 고객이 유심을 교체하지 못한 채 출국했다가 유심 정보 유출에 따른 피해를 입을 경우 책임을 지겠다고 약속하기도 했다.
SKT는 이달 14일부터 로밍 상품과 함께 이용할 수 있는 ‘유심보호서비스 2.0’을 시행할 예정이다. 이 서비스는 정상 단말기와 비정상 단말기를 구분하는 기술을 해외에서도 활용할 수 있도록 개선했다.
김 센터장은 유심 교체 여유분과 관련해선 “5월 말까지 재고는 500만개”라며 “내일(5일)부터는 T월드 2600개 매장이 유심 교체 업무에 집중할 계획”이라고 언급했다.
회사 측은 신규 가입 중단 일정과 관련해선 “시작 일정은 있지만 끝나는 일정은 아직 정해져 있지 않다”며 “여러 상황을 보고 정할 수 있게 하겠다”고 전했다.
김 센터장은 이번 사태에 따른 집단 소송에 대한 법적 대응과 관련해선 “저희가 지켜야 할 임무를 소홀히 했다던가 하는 질책이나 처벌은 당연히 감수할 것”이라며 “그 부분에 대해서는 조사가 진행 중이기에 먼저 말하긴 어렵다”고 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