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품관세 일부완화에 그나마 숨통…중국산 대체가능성도 제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일(현지시간) 외국산 자동차에 이어 자동차 부품에도 25% 관세를 부과하면서 국내 업계에 미칠 여파에 관심이 쏠린다.
비록 트럼프 대통령이 향후 2년간 자동차 부품 관세를 일부 완화하는 조치를 발표하긴 했지만 대미(對美) 수출 비중이 큰 한국 자동차 부품업체들은 어느 정도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압박이 미국 내 반발로 계속해서 후퇴하는 모습을 보이고, 한국산 부품이 중국산 부품을 대체할 기회를 얻은 것은 긍정적으로 풀이된다.
3일 외신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3월 26일 발표한 포고문에 적시된 대로 수입 자동차 부품에 대한 25%의 관세가 미 동부시간으로 이날 오전 0시1분(한국시간 3일 오후 1시1분)을 기해 부과됐다.
전체 수출에서 미국 비중이 3분의 1을 넘는 한국 자동차 부품업계는 빨간불이 켜졌다.
미국은 한국의 최대 자동차 부품 수출 시장으로, 한국의 자동차 부품 대미 수출 비중은 2020년 29.5%에서 2024년 36.5%로 증가했다.
미국의 자동차 부품 수입 가운데 한국의 비중은 지난해 기준 6.4%이며 금액으로는 135억달러(약 19조원)에 달한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미국 관세 조치의 대상이 되는 자동차 부품 품목은 미국무역대표부(USTR)의 HTS(국제상품분류체계) 10단위 기준으로 332개 품목에 이른다.
세부 품목 별로는 배터리·모터 등 전동화 부품(30억달러·한국 부품 비중 8.4%), 새시 및 구동축 부품(30억달러·6.0%), 자동차용 전자·전기 부품(25억달러·4.4%), 차체 및 부품(23억달러·8.3%), 엔진 및 부품(13억달러·6.0%), 자동차용 타이어 및 튜브(8억달러·5.2%) 등이다.
나아가 올해 하반기 개시될 미국·멕시코·캐나다무역협정(USMCA) 재검토 협상에서 원산지 기준 강화가 유력한 만큼 장기적으로 한국산 자동차 부품의 미국산 대체 가능성이 거론된다.
국내 부품업계 한 관계자는 "자동차 부품은 공급망 특성상 여러 국가를 거쳐 수출되는데 미국 국경을 넘을 때마다 관세가 부과될 경우 부담이 배로 커진다"며 "현지 수요 감소나 수출 감소는 불가피해 보인다"고 말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자동차업체 및 노동계의 반발을 고려해 향후 2년간 자동차 부품 관세를 일부 완화하기로 하면서 그나마 최악은 피했다는 해석이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29일 발표한 수정 포고문을 통해 올해 4월 3일부터 내년 4월 30일까지 미국에서 조립한 자동차 가격의 15%에 해당하는 부품에 대해 관세를 1년간 면제하고, 내년 5월 1일부터 2027년 4월 30일까지는 10%에 해당하는 부품에 관세를 면제하기로 했다.
아울러 자동차와 부품, 캐나다·멕시코에 부과한 관세, 알루미늄 관세, 철강 관세는 중첩되지 않으며, 특정 제품이 2개 이상의 관세에 해당할 경우 자동차 및 부품 관세를 우선해서 적용하도록 하는 별도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안전성, 내구도가 중요한 자동차 특성상 미국 현지 기업들이 단기적으로 자동차 소재나 부품 거래선을 바꾸기 쉽지 않은 것도 국내 자동차 부품업체들이 그나마 안도할 수 있는 부분이다.
여기에다 한국산 부품이 미·중 무역 갈등으로 미국 수출선이 막힌 중국산 부품을 대체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김경유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자동차부품의 경우 중국 수입품에 60%가 넘는 균일관세 부과 시 (미국의 수입선이) 우리 부품으로 대체되면서 일부 반사이익이 기대된다"고 전망했다.
실제로 한국과 중국의 대미 자동차부품 수출은 2018년 미국의 대중국 고율 관세를 계기로 각각 증가세와 감소세로 엇갈렸던 경험이 있다.
미국 국민과 시장의 반발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압박이 나날이 완화하고 있는 것도 그나마 긍정적 요소 중 하나다.
전윤식 무협 수석연구원은 "트럼프 행정부 관세 정책의 변동성이 큰 만큼 관련 정책 변화를 면밀히 모니터링하며 대응해야 할 것"이라며 "기업별로 수출 다변화 등 세부 대응 전략을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연합>연합>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