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트럼프 보란 듯… 캐나다 총리, 국왕 찰스 3세 방문 일정 전격 발표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5-05-03 13:10:11 수정 : 2025-05-03 14:31:04

인쇄 메일 url 공유 - +

찰스 3세, 영국 국왕인 동시에 캐나다 국왕
27일 열릴 캐나다 하원 개원식 참석하기로
“캐나다, 엄연한 주권 국가” 일깨우려는 듯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첫 정상회담을 앞둔 마크 카니 신임 캐나다 총리가 찰스 3세 영국 국왕 부부의 캐나다 방문 일정을 전격 발표했다. 영연방 회원국인 캐나다는 영국 국왕을 자국 국가원수로 섬기는 만큼 찰스 3세는 캐나다 국왕에 해당한다. “캐나다를 미국의 51번째 주(州)로 만들겠다”고 외치는 트럼프에게 캐나다의 독립과 주권을 상기시키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찰스 3세 영국 국왕(왼쪽)이 지난 4월30일 런던 버킹엄궁에서 암 환자 지원 단체 관계자들과 만나 대화하던 중 익살스러운 표정을 짓고 있다. 영국 국왕인 동시에 캐나다 국왕이기도 한 찰스 3세 부부는 오는 27일로 예정된 캐나다 하원 개원식 참석을 위해 캐나다를 방문할 예정이다. 로이터연합뉴스

2일(현지시간) BBC 방송에 따르면 카니는 지난 4월28일 총선 승리 이후 처음으로 이날 기자회견을 했다. 선거에선 카니가 이끄는 자유당이 총 343석 중 절반 가까운 168석을 얻으며 1당에 올랐다. 그간 총선까지만 자리를 지키는 ‘임시 총리’에 가까웠던 카니는 이르면 오는 12일 정식 총리로서 취임 선서를 할 예정이다.

 

카니는 기자회견에서 찰스 3세와 부인 커밀라 왕비가 이달 말 캐나다를 방문할 예정이라고 전격 발표했다. 총선에 따라 새로 구성된 캐나다 하원이 오는 27일 개원식을 여는데 이 자리에 ‘캐나다 국왕’ 찰스 3세가 직접 참석한다는 것이다. 그간 캐나다 하원 개원식 연설은 국왕을 대신해 국가원수 노릇을 하는 총독의 몫이었다. 영국 국왕이 캐나다 국왕 자격으로 캐나다 하원 개원식에서 연설을 한 것은 지난 1957년과 1977년 두 차례뿐이다. 모두 찰스 3세의 어머니인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이 그 역할을 맡았다.

 

이를 두고 BBC는 카니가 ‘전략적 방문’(strategic visit)을 추진한 것이란 분석을 내놓았다. 캐나다도 엄연히 국가원수가 있는 주권 국가라는 점을 트럼프에게 새삼 상기시키기 위함이란 것이다. 트럼프는 캐나다를 “미국의 51번째 주”, 캐나다 총리를 “주지사”(Governor)라고 각각 낮춰 부르며 미국이 캐나다를 합병하고 싶다는 의사를 공공연히 드러내고 있다.

 

마크 카니 신임 캐나다 총리가 2일(현지시간) 총선 승리 후 처음 열린 기자회견 도중 잠시 상념에 잠겨 있다. AFP연합뉴스

트럼프가 영국 왕실에 깊은 존경심을 갖고 있다는 점을 활용하려는 의도도 엿보인다. 지난 2월 찰스 3세가 트럼프에게 “국빈으로 영국을 방문해달라”고 초청하자 트럼프는 무척 기뻐하며 이를 받아들였다. 트럼프는 오는 9월 영국에 가서 찰스 3세와 만날 계획이다. 카니는 트럼프가 그토록 존경하는 영국 국왕이 동시에 캐나다 국왕이기도 하다는 점을 새삼 강조하려는 듯하다.

 

이날 찰스 3세의 캐나다 방문을 전격 발표한 카니는 오는 6일 백악관에서 트럼프와 처음으로 정상회담을 가질 예정이다. 트럼프는 취임 전부터 캐나다를 겨냥해 고율의 관세 부과를 위협한 바 있다. 카니는 “우리 정부는 캐나다를 위한 최선의 거래를 성사시키기 위해 싸울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눈치나 보며 합의를 서두르는 대신 당당한 자세로 협상에 임하고 미국과의 관계 악화도 개의치 않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그는 “어렵지만 건설적인 논의를 기대한다”며 “유럽·아시아 국가들과의 관계를 강화할 것”이라고도 했다. 미국 일변도에서 벗어나 새로운 무역 파트너를 찾겠다는 의미다.


김태훈 논설위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전지현 '눈부신 등장'
  • 전지현 '눈부신 등장'
  • 츄 '상큼 하트'
  • 강지영 '우아한 미소'
  • 이나영 ‘수줍은 볼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