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이 정도면 얼굴 강타…커버 열고 변기 내리면 92㎝ 튀어 올라

입력 : 2025-05-02 11:13:35 수정 : 2025-05-02 11:13:35

인쇄 메일 url 공유 - +

유한킴벌리·국민대학교 ‘비산 물질 특성 연구’ 산학 협력
연구진 “공기 중 바이러스 접촉 시 교차 감염 가능성”
유한킴벌리는 2일 국민대학교와 ‘화장실 변기 물 내림에 의한 비산 물질의 오염 특성 연구’ 주제 산학 협력에서 변기 커버로 시트를 덮지 않고 물을 내릴 경우, 튀어 오른 비말이 최대 높이 92㎝까지 상승(하얀 동그라미)해 주변 대기에 머물 수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고 밝혔다. 유한킴벌리 제공

 

변기 커버로 시트를 덮지 않고 물을 내릴 경우 튀어 오른 비말이 최대 높이 92㎝까지 상승해 주변 대기에 머물 수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유한킴벌리는 2일 국민대학교와 ‘화장실 변기 물 내림에 의한 비산 물질의 오염 특성 연구’ 주제 산학 협력에서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밝혔다.

 

유한킴벌리는 변기 물 내림 시 발생하는 비산물질의 확산과 오염 경로에 주목했고, 산업공공 위생 솔루션 전문 기업으로서 안전한 공중화장실 사용 방법 제시를 위해 국민대와 함께 연구를 진행했다.

 

레이저로 관찰한 실험에서 물을 내렸을 때 최대 높이 92㎝까지 상승한 비말은 약 1분간 대기를 떠돌며 화장지 용기와 화장실 벽면 등 주변으로 퍼진 게 확인됐다.

 

특히 하단 개방 용기 설치로 밑단이 길게 늘어뜨려진 화장지에도 비말이 노출될 수 있고, 커버를 닫고 물을 내려도 변기 시트 주변 환경이 오염됐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따라서 변기 시트 이용 시 균의 확산 방지를 위해 시트 크리너 등으로 먼저 닦고, 화장지의 노출 면적을 줄이는 밀폐형 용기를 쓰는 게 좋다고 연구진은 조언했다.

 

연구를 진행한 국민대 임산생명공학과 김형진 교수는 “비말이 공기 중 미생물이나 바이러스와 접촉하면 교차 감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며 “위생 관리 측면에서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유한킴벌리 관계자는 “물 내림 시 비말의 확산과 오염 영향을 확인한 만큼 밀폐 용기 방식의 화장지와 오염물을 제거할 수 있는 변기시트 크리너 등 솔루션을 적극 보급하려고 한다”며 “위생적인 공중화장실 환경 조성과 소비자 인식과 사용 패턴 개선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김동환 기자 kimcharr@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전지현 '눈부신 등장'
  • 전지현 '눈부신 등장'
  • 츄 '상큼 하트'
  • 강지영 '우아한 미소'
  • 이나영 ‘수줍은 볼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