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銀서만 3.8조↑… 7개월 만에 최대
주택 거래 증가에 주담대 2.7조 불어나
증시 변동성 커지자 마통 등 수요 급증
신용대출도 1.1조↑… 5개월 만에 증가
금융당국, 당분간 관리 기조 지속 전망
3대 기관 전세대출 보증 비율 90%로
지난달 금융권 전체 가계대출이 약 5조원 불어났다. 서울 토지거래허가구역 일부 해제 등으로 주택 거래가 늘어난 데다가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으로 증시 변동성이 확대되면서 ‘저점 매수’를 노린 투자자들의 신용 대출까지 증가했기 때문이다. 은행권 가계대출 증가액은 7개월 만에 최대치를 기록하면서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관리 기조는 당분간 계속될 전망이다.

1일 금융당국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달 29일 기준 전체 금융권 가계대출 잔액은 3월 말보다 5조원 이상 늘어난 것으로 추산된다. 월말 신용대출 상환분이 반영돼도 증가 규모는 5조원대 안팎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전 금융권 가계대출 증가 폭은 2월 4조2000억원에서 3월 4000억원으로 줄었다가 지난달 다시 5조원대로 뛰어올랐다.
이 같은 증가세는 은행이 주도했다.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4월29일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742조3253억원으로, 3월 말(738조5511억원)보다 3조7742억원 많았다. 마지막 영업일(4월30일)을 제외하더라도 지난해 9월(5조6000억원) 이후 7개월 만에 가장 큰 증가 폭이다.
5대 은행 가계대출 증가 폭은 지난해 8월 9조6259억원까지 치솟았다가 9월 이후 금리 인상과 당국·은행권의 가계대출 총량 규제로 꾸준히 줄어들었다. 올해 1월에는 가계대출이 전월보다 4762억원 줄어들었다.
하지만 연초 금리 인하와 은행들의 규제 완화, 이사철 수요 등으로 2월(3조931억원) 반등한 뒤 3월(1조7992억원)과 4월까지 석 달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가계대출 종류별로 보면, 주택담보대출(전세자금대출 포함) 잔액은 588조3878억원으로 3월 말(585조6805억원)보다 2조7073억원 불었다. 증가액은 3월(2조3198억원)보다 많지만, 2월(3조3836억원)과 비교하면 약 7000억원 적다.
특히 신용대출이 101조6063억원에서 102조7109억원으로 1조1046억원이나 늘었다. 지난해 11월(2442억원) 이후 5개월 만에 증가한 것이다.
시중 은행 관계자는 “미국 관세정책 여파로 글로벌 금융시장이 요동치면서 마이너스통장(신용한도 대출) 등을 통한 투자용 신용대출 수요가 급증했다”고 설명했다.
기업 대출도 증가세로 돌아섰다.
5대 은행의 지난달 29일 현재 기업 대출 잔액은 총 830조1778억원으로 전월 말보다 4조9684억원 불었다. 경기 악화 등의 여파로 3월 2조4936억원 줄었지만 한 달 만에 약 5조원 가까이 다시 늘어난 것이다.

기업 규모별로는 중소기업(소상공인 포함) 대출이 6903억원(663조1922억원→663조8825억원), 대기업 대출이 4조2781억원(162조172억원→166조2953억원) 각각 증가했다.
금융당국은 4월 가계대출이 크게 증가했지만 관리 가능한 범위 내에 있다고 보고 있다. 다만 늘어난 신용대출 규모를 예의주시하면서 가계대출 관리 기조를 이어갈 예정이다. 가정의 달 5월에는 소비가 늘어나면서 가계부채가 증가할 가능성도 크다.
이에 따라 당국은 이달부터 한국주택금융공사(HF), 주택도시보증공사(HUG), 서울보증보험(SGI) 등 3대 보증기관의 전세대출 보증 비율을 대출금의 90%로 일원화한다. 7월 시행 예정인 3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세부 적용 방침도 이르면 이달 발표할 계획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지난달 신용대출이 예상보다 많이 늘어 흐름을 철저히 살펴볼 계획”이라면서 “5월에도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영향이 나타날 수 있는 만큼 가계대출 관리를 엄격히 이어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