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수진영에서 주장하는 ‘반(反) 이재명 빅텐트’의 주축으로 거론되는 이낙연 전 국무총리 측이 합류 대전제로 ‘12·3 비상계엄’과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에 대한 명확한 입장 정리를 제시했다. 사실상 보수진영이 윤석열 전 대통령과 결별하는 상징적 조치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반명 빅텐트’의 전제조건으로 ‘윤 전 대통령과의 관계 재설정’이 제시되면서 보수진영 대응이 주목된다.

이 전 총리 측 관계자는 30일 세계일보와의 통화에서 “제일 큰 조건은 (한 권한대행이) ‘계엄’과 ‘탄핵’에 대해서는 입장을 분명히 해야 한다는 것”이라면서 “그 부분을 안해주면 입장이 좀 곤란하다”고 말했다.
보수진영 내에서 ‘반명 빅텐트’ 참여가 계속 언급되어왔던 이 전 총리는 그 전에도 12·3 비상계엄에 반대하는 한편, 윤 전 대통령 탄핵에도 찬성해왔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이 전 총리의 정치개혁, 사회통합, 위기극복 메시지를 한 권한대행이 메시지 등을 통해 반영해온 점을 들어 ‘빅텐트’ 참여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이 있어왔다. 이 전 총리 측은 이에 계엄과 탄핵에 대한 한 권한대행 측의 입장이 명확해야 하며 이것이 ‘대전제’이자 기초적인 필요조건이라고 설명했다.
사실상 보수진영이 윤 전 대통령과의 관계설정을 명확히 하지 않으면 참여가 어렵다는 뜻을 보인 것으로 해석된다. 앞서 이 전 총리는 17일 개헌 연대 국민대회에서 “위기극복과 정치개혁, 사회통합에 뜻을 같이하는 세력이라면 누구와도 협력하겠다”면서도 “분명히 말씀드리는 것은 권력만을 위한 권력을 잡기 위해 또는 뺏기지 않기 위한 이합집산에는 관심이 없다. 외롭다고 아무나 손잡지 않겠다”고 말한 바 있다. 다만 보수진영 내에서는 윤 전 대통령 탈당과 같은 ‘절연’에 대해서는 공개적인 목소리를 꺼리는 분위기가 있어 실제 성사여부는 불투명하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