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원장, 국립예술단체 예술감독 등 인선은 개선된 절차에 따라 새 정부가 하는 게 깔끔”…‘인사 알박기’ 논란 차단 노린 듯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용산 대통령실 출신 문체부 고위 인사 내정설로 ‘낙하산 인사’ 논란을 빚은 국립국악원장을 재공모할 것이라고 밝혔다. 유 장관은 또 앞으로 예술의전당 사장 등 문체부 장관이 임명하는 예술기관 기관장을 비롯해 국립예술단체 예술감독은 선임 과정에서 자질 시비가 생기지 않도록 공개 오디션 등 투명한 절차를 거쳐 뽑는 제도를 도입하기로 했다. 다만 ‘알박기 인사’ 논란 차단을 위해 이들 자리에 대한 인선은 6·3 대선 후 새 정부 몫으로 넘길 방침이다.
지난 21일 서울 종로구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세계일보와 만난 유 장관은 10개월 넘게 공석인 국립국악원장의 선임 문제를 둘러싼 정부와 국악계 갈등 상황에 대해 묻자 “국악원장은 재공모할 것이다. 개방형 직위로 바뀌었기 때문에 누구나 응모할 수 있다”며 “(다만) 다음 정부에서 하는 것이 깔끔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립국악원장 공모 논란은 그동안 국악 전문가들이 맡아 왔던 자리가 지난해 말 대통령령 개정으로 공무원도 지원 가능한 개방형 직제가 되면서 비롯됐다. 이후 공모 과정에서 용산 대통령실 비서관을 지낸 문체부 고위 공무원 내정 의혹이 불거져 국악계 반발이 거셌다. 이에 다수가 공감할 방안을 찾겠다고 했던 유 장관이 ‘국악원장 재공모 및 새 정부에서 임명’ 쪽으로 방향을 튼 것이다.
유 장관은 국립발레단과 국립극단 등 국립예술단체 예술감독들이 취임 후 바로 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미리 뽑아 두는 ‘사전 지명제’에 대해서도 “지원자들에 대해 공개적인 자질 평가 등 투명한 선발 절차를 마련하고, 실제 뽑는 건 다음 정부에서 하도록 할 것”이라고 했다.
그는 윤석열 전 대통령이 탄핵을 자초한 12·3 비상계엄 선포에 대해 “(당시 내가 현장에 있었다면) ‘진짜 그러면 안 된다’고 강하게 반대했을 것”이라며 “이미 벌어진 일이니 어쩌겠나. 대통령이 임명한 내각의 일원으로서 공동 책임을 지는 게 맞다”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