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원단체 “문제 학생 치료 등 강화”
이주호 부총리 “대응책 논의 착수”
28일 충북 청주의 한 고등학교에서 특수교육 대상 학생이 흉기 난동을 벌였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정신장애 자녀를 둔 학부모들은 “가슴이 철렁 내려앉았다”며 걱정했다. 이번 사건으로 특수교육 학생에 대한 ‘분리교육’을 주장하는 여론이 형성되거나, 낙인 효과가 생길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이날 장애 학생을 둔 학부모 사이에선 근심 어린 목소리가 터져 나왔다. 최경옥 충북장애인부모회장은 “교직원분들이 다친 것이 가장 걱정이고, 아이들이 앞으로 교육현장에서 소외될까 염려가 크다”고 말했다.
김남연 전국장애인부모연대 서울지부장 역시 이번 사건이 특수교육 대상 학생 전체의 문제처럼 비치는 것을 경계했다. 통합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해온 그는 “분리교육은 사실상 차별을 하겠다는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교직 사회에서도 낙인 효과를 걱정하는 반응이 잇따랐다. 서울 한 중학교 특수학급 교사 박모씨는 “비장애 자녀를 둔 학부모들이 ‘특수교육 대상 학생 격리하라’고 학교 측에 민원을 넣을 것”이라고 씁쓸해했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충북지부는 “이번 사안은 교원 안전이 충분히 보장되지 않고 있는 현실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교육 당국에 재발방지책을 요구하면서도 “이번 사건으로 특수교육에 대한 부정적인 편견이 형성되어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교사노동조합연맹도 “이번 일이 특수교육 대상 학생에 대한 오해와 특수교육의 위축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세심한 제도 개선이 요구된다”고 밝혔다.
교원단체들은 특수교육 대상자에 대한 맞춤형 대책을 주문했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는 “현재 특수교육 대상 학생을 전문적으로 담당하는 특별교육기관이나 상담기관은 전무한 실정”이라며 “교육 당국은 공격·과잉행동 학생에 대한 상담·치료 시스템을 강화하고, 특수교육 실태를 면밀히 살펴 학생·교원의 안전을 보호하는 종합적인 법·제도 마련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현장교사, 전문가들과 함께 이번 사안의 발생 원인 진단과 대응방안 논의에 착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