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빈집 2만5000가구…‘헐값 매물’, 기회 vs 함정일까?

관련이슈 이슈플러스

입력 : 2025-05-02 05:00:00 수정 : 2025-05-02 05:17:16

인쇄 메일 url 공유 - +

준공 후 미분양 2만5000가구 돌파…11년 8개월만에 ‘최대’
주택 수급 불균형, 구조적 문제 이어졌다는 것 보여준 신호

지방 중심으로 한 미분양 누적, 수요 부진과 맞물려 악순환
“수요 회복, 실수요자 유입 유도…정교한 맞춤형 정책 절실”

준공 후에도 주인을 찾지 못한 미분양 주택이 2만5000가구를 넘어섰다. 이는 2013년 8월 이후 11년 8개월 만에 가장 많은 수준으로, 집을 다 지었음에도 빈집으로 남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는 의미다.

 

기사 특정내용과 무관. 게티이미지뱅크

준공 후 미분양은 사업자뿐만 아니라 기존 입주민에게도 부담을 주기 때문에 ‘악성 미분양’으로 불린다. 정부가 해소 방안으로 전용 리츠(REITs)를 통한 매입을 추진하고 있지만, 지방을 중심으로 번진 주택시장 침체를 단기간에 반전시키기는 어렵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2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3월 주택 통계에 따르면 전국 미분양 주택은 6만8920가구로, 한 달 전보다 1.6% 감소했다(3월 말 기준).

 

그러나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2만5117가구로 같은 기간 5.9% 증가해 2013년 8월(2만6453가구) 이후 가장 많은 수준을 기록했다. 준공 후 미분양은 2023년 8월 이후 20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의 준공 후 미분양은 4574가구로 전달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반면 지방은 2만543가구로 한 달 전보다 7.1% 증가했다.

 

대구(3252가구)가 가장 많았고 △경남(3026가구) △경북(2715가구) △부산(2438가구) 등 영남권 지역에서 특히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제주(1605가구)와 전남(2392가구) 역시 미분양 물량이 많지만, 최근 증가세는 주춤한 모습이다.

 

정부는 미분양 해소를 위해 기업구조조정(CR) 리츠를 지난해부터 추진해왔고, 지난달 첫 리츠가 등록됐다. JB자산운용이 등록한 리츠는 대구 소재 미분양 아파트 288가구를 매입할 예정이다.

 

국토부에 따르면 추가로 등록 예정인 리츠까지 포함하면 약 2000가구를 매입할 계획이다. 별도로 한국토지주택공사(LH)도 3000가구 매입을 목표로 사업자와 조율 중이다. 그러나 예정된 매입이 모두 완료되더라도 전체 미분양 물량 해소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기사 특정내용과 무관. 게티이미지

한편, 지난달 주택 인허가 건수는 3만1033가구로 한 달 전보다 148.2% 급증했다. 다만 이는 주택시장 침체로 인한 기저효과에 따른 것으로, 여전히 예년 평균에는 못 미치는 수준이다. 주택 착공은 1만3774가구로 36.8% 증가했고, 아파트 등 공동주택 분양 물량은 8646가구로 60.6% 늘었다.

 

수도권의 경우 지난 2월 분양이 거의 전무했던 영향으로 증가율은 컸지만, 절대 물량은 과거 대비 적은 편이다. 반면 지난달 준공 실적은 2만6124가구로 전월 대비 27.8% 감소했다.

 

주택 거래량은 회복세를 보였다. 지난 3월 전국 주택 거래량은 6만7259건으로 전달보다 32.7%, 전년 동월 대비 27.3% 증가했다.

 

특히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9349건으로 같은 기간 두 배가량 늘었다. 서울 강남권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재지정 이슈가 불거지면서 거래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전·월세 거래량은 23만9044건으로, 이 중 월세가 14만1531건(59.2%)을 차지해 비중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준공 후 미분양 증가를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고 지적한다.

 

업계 한 관계자는 “준공 후 미분양이 2만5000가구를 넘어서며 최근 10년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는 것은 주택 수급 불균형이 구조적 문제로 이어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신호”라고 말했다.

 

이어 “특히 지방을 중심으로 한 미분양 누적은 지역 수요 부진과 맞물려 악순환을 심화시킬 수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정부가 리츠 등록 등을 통해 대응하고 있지만, 단기적으로 시장 체감 회복에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공급 확대보다는 수요 회복과 실수요자 유입을 유도할 수 있는 정교한 맞춤형 정책이 절실하다. 무엇보다 지역별 수요를 정확히 반영한 주택 정책 조정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김현주 기자 hj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전지현 '눈부신 등장'
  • 전지현 '눈부신 등장'
  • 츄 '상큼 하트'
  • 강지영 '우아한 미소'
  • 이나영 ‘수줍은 볼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