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치매는 환자 본인뿐 아니라 가족에게도 심리·신체적인 큰 부담이 되는 질환이다. 특히 65세 이전에 발병하는 초로기 치매의 경우 사회적·경제적으로 활발히 활동하던 시기에 큰 어려움을 초래한다. 인천시가 초로기 치매 환자와 가족들을 위한 맞춤형 지원에 앞장서며 희망의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
26일 인천시에 따르면 2022년 기준 관내 전체 치매 환자 가운데 10명 중 1명(10.3%)이 초로기로 분류된다. 이는 전국 평균(7.7%)을 크게 웃도는 수치다. 또 65세 미만 치매 상병자 비율은 전국에서 가장 높아 이들에 대한 선제적이고 집중적인 대응이 필요한 지역으로 평가된다.
시는 2020년부터 전국에서 최초로 초로기 치매 전담기관을 운영 중이다. 인천광역치매센터 부설 ‘뇌건강학교’가 바로 그곳이다. 환자 당사자를 ‘치매극복 희망대사’로 위촉해, 이들이 여전히 우리의 소중한 구성원으로서 의견을 낼 수 있도록 사회참여를 적극 독려한다.
여기서는 맞춤형 쉼터 프로그램과 교육을 실시하며 실질적 지원에 앞장서고 있다. 예컨대 치매친화 영화관 ‘가치함께 시네마’에서 직원으로 나서거나, 초로기 지역 주민의 장수사진을 촬영하는 ‘가치함께 사진관’ 등이 대표적이다. 당사자와 가족이 함께 거리정화(줍깅)를 펼치기도 한다.
시는 8월 일본 후생노동성의 치매 희망대사로 활동 중인 초로기 치매 당사자 ‘탄노 토모후미’씨를 초청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지자체·기업·기관·당사자들이 함께 토론회에 나서 해당 환자의 일자리 유지 및 사회참여 방안을 심도 있게 모색하는 논의가 이뤄질 예정이다.
올해 초로기 치매 환자의 자녀들을 위한 ‘영케어러 모임’도 새롭게 시작한다. 부모의 돌봄을 맡게 된 자녀들은 또래와의 관계 단절, 정서적 부담, 학업·진로 불안 등 복합적인 어려움을 겪기 쉽다. 이에 이들을 대상으로 공감의 장을 마련하고자 한다.
신병철 시 보건복지국장은 “초로기 치매 환자도 우리사회의 소중한 일원으로 역할을 이어가도록 지속적인 지원을 강화할 것”이라며 “치매 공존사회 실현을 통해 ‘치매여도 여전히 좋은 가족·이웃’이 될 수 있도록 힘쓰겠다”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