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12건 중 광역자치단체 최다
‘하수관 손상’ 누수 원인 가장 많아
市, 2024년 5단계 안전지도 작성
“불안 조성” 이유로 비공개 고수
5월까지 철도 건설 현장 탐사
신고~처리 원스톱 시스템 마련도

지난달 서울시 강동구 명일동 싱크홀(땅꺼짐) 사고로 1명이 숨지며 충격을 준 데 이어 연이어 비슷한 사고가 일어나면서 시민들이 불안에 떨고 있다. 실제 올해 3월까지 전국에서 발생한 12건의 싱크홀 사고 중 5건이 서울에서 일어난 것으로 나타나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서울시도 대책 마련에 나섰다.
14일 국토교통부 지하안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2021년 1월부터 올해 3월까지 서울 지역에서 발생한 싱크홀 사고는 72건이다. 2023년 22건까지 늘어났던 사고는 지난해 16건으로 줄었으나 올해는 3월까지 5건이 발생해 다시 증가하는 추세다. 특히 올해 전국에서 발생한 싱크홀 사고는 12건이었는데, 서울에서 5건이 발생해 광역자치단체 중 가장 많았다.
최근 서울에서는 싱크홀 사고가 잇따라 일어나며 시민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특히 지난달 24일 명일동에서는 4개 차선 크기, 깊이 20m의 대형 싱크홀이 발생해 1명이 숨지는 사고가 일어났다. 이날 관악구에서는 삼성동 재개발구역 인근 도로에 지반 균열이 발생했다. 균열 크기는 폭 10㎝가량으로 싱크홀은 아닌 것으로 파악됐다.

시와 소방 당국이 최근 발생한 싱크홀의 원인을 파악 중인 가운데 최근 5년 간 서울 지역의 싱크홀 사고 발생 원인은 ‘하수관 손상’이 32건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수관이 오래돼 누수가 생기면서 주변 흙을 쓸고 지나가고, 땅속 구멍이 조금씩 커지는 것이다. 되메우기 불량(10건), 굴착 공사 부실(10건), 상수관 손상(8건) 등도 뒤를 이었다.
해마다 싱크홀 사고가 반복되자 서울시는 지난해 ‘지반침하 안전지도’를 작성했으나, 일반에 공개되지는 않고 있다. 이 지도는 싱크홀 위험도에 따라 서울 전역을 5단계로 등급을 매기고, 노후 상수도관이 있거나 지하에서 공사가 진행 중인 곳 등은 위험 지역으로 분류한 것으로 알려졌다.
명일동 사고 이후 이를 공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으나 시는 “공개시 불필요한 오해와 불안을 조성할 수 있다”며 비공개 방침을 고수하고 있다. 해당 지도는 지표투과레이더(GPR)탐사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관리용 자료로, 그 자체로 지반의 위험도를 나타내는 자료는 아니라는 설명이다.
시의 설명에도 비판의 목소리는 커지고 있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정보공개센터 등은 최근 서울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자료를 비공개하는) 속내는 부동산값 때문이라는 공공연한 이야기가 있다”며 “운수 노동자들의 생명과 안전을 위해 지반침하 안전지도 공개를 요구한다”고 촉구했다.

시는 이날 오세훈 서울시장과 시민 안전 관련 실·국·본부장이 참석한 가운데 대책 회의를 열었다. 시는 안전 점검강화를 위해 동북선·신안산선·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등 관내 도시·광역철도 건설공사 구간 5곳(49.3㎞)과 주변 도로에 대한 GPR 탐사를 다음 달 말까지 집중 실시하기로 했다. 탐사 결과와 공동 발견 위치, 복구 내용 등은 ‘서울안전누리’에 공개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시는 사고 징후에 대한 신고부터 접수, 조치까지 원스톱으로 처리 가능한 ‘신속 현장 점검시스템’을 구축한다. 관계기관이 사전 협력체계를 구축해 시민이 어느 채널로든 신고하면 즉각 현장에 출동하고 신속하게 복구·조치하는 방식이다.
시 관계자는 “싱크홀과 관련한 다양한 요소와 기능이 담긴 지도를 만들 예정”이라며 “공개 여부는 사회적 공감대 등을 반영해 내부적으로 검토해 결정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