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 대선 공정 관리도 막중한 책무
韓 “공직 마지막 소임” 약속 지켜야

6·3 대통령 선거를 50여일 앞두고 국민의힘 일각에서 이른바 ‘한덕수 차출론’이 확산하고 있다. 현재 대통령 권한대행인 한 국무총리를 보수 진영의 대선 후보로 내세워야 한다는 주장이다. 국민의힘 황우여 선거관리위원장은 어제 한 권한대행을 향해 “주중에는 (당내 경선 출마 여부를) 결정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전 대표가 차기 대권 레이스에서 부동의 1위를 달리는 가운데 국민의힘이 느끼는 조바심은 이해가 간다. 하지만 지금은 대통령 궐위에 따른 국정 공백 최소화가 가장 시급한 만큼 차출론은 대단히 무책임하고 부적절한 발상이라 하겠다.
국민의힘 일부 의원은 정통 관료 출신으로 국정 경험이 풍부한 한 권한대행의 안정적 이미지를 높게 본다. 이 전 대표에게 불안함을 느끼는 중도층 표심 공략에 적격이라는 뜻이다. 이미 대권 도전을 선언한 국민의힘 주자들의 지지율이 이 전 대표에 크게 못 미치는 상황에서 한 권한대행의 등판이 당내 경선 흥행에 큰 도움이 되리란 계산도 깔려 있는 듯하다. 하지만 2007년 고건 전 총리, 2017년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의 경우에서 보듯 헛된 기대에 그칠 가능성이 크다. 대선을 앞두고 갑자기 정치권 밖 인물을 끌어들여 성공한 사례가 파면당한 윤석열 전 대통령 말고 또 누가 있는가.
더욱이 한국은 현재 초유의 위기에 놓여 있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한국을 상대로 예고한 관세 부과를 앞두고 벌써부터 각종 경제 지표가 요동을 치는 형국이다. 한 권한대행을 중심으로 정부와 기업이 하나되어 미국과의 관세 협상에 철저히 대비하는 것이 급선무다. 대한민국의 새로운 출발을 기약해야 하는 6·3 대선의 공정한 관리 또한 한 권한대행 앞에 놓인 막중한 책무다. 국민의힘은 한 권한대행이 오직 대통령 대행 임무에만 전념할 수 있도록 충실히 뒷받침하는 것이 마땅하다.
한 권한대행은 지난해 국회의 윤 전 대통령 탄핵소추 직후 “현 상황의 조속한 수습과 안정된 국정 운영이 제 긴 공직 생활의 마지막 소임”이라고 말했다. 이는 대선 불출마 의사를 밝힌 것으로 풀이됐다. 한 권한대행은 이 약속을 반드시 지키는 것은 물론 더는 정치권에서 불필요한 잡음이 나오지 않도록 언행에 신중을 기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민주당도 ‘한 권한대행을 다시 탄핵해야 한다’는 억지 주장을 접고 정부의 대미 협상에 힘을 싣는 등 국정 공백 최소화에 적극 협력하길 바란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