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더보다 안전모 미착용 많아
올 연초 이륜차 교통사고 사망자가 전년 대비 40% 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배달 오토바이 때문이 아니라, 최근 고령층이 이륜차를 교통수단으로 많이 이용하면서 고령 사망자 비중이 높았다.
31일 경찰청에 따르면 올해 1~2월 이륜차 사망자는 49명으로 전년 동기(34명) 대비 44.1% 증가했다. 이륜차 사망자는 2022년 484명을 기록한 이후 2023년 392명, 2024년 361명으로 감소하는 추세였으나 올해 들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올해는 특히 65세 이상 고령 사망자의 비중이 높았다.
올해 1~2월 이륜차 사망자 중 65세 이상은 15명으로 집계됐는데, 이는 운전면허소지자 100만명당 2.90명 수준으로 64세 이하 사망자로 집계한 1.15명보다 많았다. 최근 고령자가 이륜차를 생활용도로 많이 사용하면서 사망 비중이 비고령자에 비해 2배 가까이 많아진 것이라는 분석이다.
실제 올해 이륜차 사망자의 69.4%(34명)가 생활용으로 이륜차를 사용하다가 사망한 것으로 집계됐다. 배달용으로 이륜차를 사용하다 사망한 이는 30.6%(15명) 수준이었다. 배달용으로 사망한 사망자가 안전모를 착용한 비율은 73.3%로 높았지만, 생활용으로 이륜차를 사용한 사망자가 안전모를 착용한 비율은 50.0%에 불과했다.
경찰은 도시지역은 사고가 잦은 곳을 중심으로, 도시 외 지역은 생활중심지를 대상으로 이륜차 안전에 대한 집중순찰에 나설 방침이다. 특히 안전모 미착용과 턱끈을 느슨하게 매는 등 안전모를 제대로 착용하지 않은 운전자에 대해 엄정하게 단속할 예정이다. 도주할 경우에는 캠코더 단속 장비를 활용해 과태료를 부과한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