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 심판 후 사회 혼란·갈등 극대화 우려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가 임박한 가운데 최근 발표된 각종 여론조사에서 여전히 국민 10명 중 4명은 헌재를 신뢰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헌재의 결정이 어떻게 나든 사회 혼란이 커질 것이란 우려가 점차 현실화하고 있다. 정치권 안팎에선 윤 대통령과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나서 헌재 결정에 대한 신뢰와 승복 메시지를 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진다.

18일 CBS노컷뉴스가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에 의뢰해 지난 15~16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에 따르면 헌재를 신뢰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36.1%로 나타났다. 신뢰한다는 응답은 56.8%였다. 이번 조사는 무작위로 추출한 휴대전화 가상번호에 무선 ARS 자동응답 조사방식으로 진행됐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 응답률 7.0%다.
한국갤럽이 지난 11∼13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에서도 헌재를 신뢰하지 않는다는 비율은 38%였다. 신뢰한다는 비율은 53%였다. 신뢰도 추이를 살펴보면 지난 1월 57%에서 2월 52%로 5%포인트 하락한 뒤 이달 소폭(1%포인트) 올랐다. 불신 여론은 38%로, 1월(31%)보다는 높고 2월(40%)보다는 낮았다. 이번 조사는 무작위로 추출된 휴대전화 가상번호에 전화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됐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 응답률 13.4%다.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지난 10∼12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전국지표조사(NBS)에서도 헌재의 탄핵 심판 결과에 대해 “내 생각과 달라도 수용하겠다”는 응답이 54%, “내 생각과 다르면 수용하지 않겠다”는 응답이 42%로 조사됐다.
헌재의 탄핵 심판 과정 역시 신뢰하지 않는다(전혀 신뢰하지 않는다+신뢰하지 않는 편이다)는 응답자가 44%에 달했다. 이 조사는 무작위로 추출된 휴대전화 가상번호에 전화면접조사 방식으로 진행됐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 응답률 21.1%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헌재에 대한 국민 불신이 사그라지지 않으면서 윤 대통령 탄핵 심판 이후 사회 혼란과 갈등을 걱정하는 목소리가 크다. 서부지법 난동 같은 제2의 폭력 사태가 일어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정치권에서도 이를 의식해 헌재 심판 결과에 승복하겠다는 메시지를 잇달아 내고 있다. 다만 이번 사태의 당사자인 윤 대통령이 여전히 이와 관련한 메시지를 내지 않고 있다. 윤 대통령은 지난달 25일 탄핵 심판 최후변론은 물론, 지난 8일 석방된 후 낸 입장문에서도 헌재 결정에 승복한다는 내용을 담지 않았다. 윤 대통령은 앞으로도 헌재 판결이 날 때까지 별다른 입장을 내지 않을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대표의 경우 지난 12일 채널A 유튜브 ‘정치시그널 나이트’에 출연해 “(헌재 판결에) 승복은 당연히 해야 한다”며 “민주 공화국의 헌법 질서에 따른 결정들을 승복 안 하면 어떻게 할 것인가”라고 말한 바 있다. 국민의힘에선 이 대표가 공식적인 자리에서 제대로 된 메시지를 내라고 촉구하고 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