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가로 공천” 진술
윤석열 대통령 부부의 공천 개입 의혹을 들여다보고 있는 검찰이 김건희 여사가 명태균씨에게 윤 대통령에게 유리한 여론조사를 요청한 것으로 의심되는 정황이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파악됐다.

25일 뉴스타파가 공개한 지난해 11월 13일자 창원지검 수사보고서에는 검찰이 김 여사의 공천 개입 여부를 수사할 필요가 있다고 본 것으로 해석되는 대목이 여러 차례 등장했다.
'PNR 및 서버 보관 장소 압수수색 필요성'이란 제목의 보고서엔 ‘정치 브로커’ 명씨가 지난 2022년 5월 창원 의창구 국회의원 재·보궐 선거 당시 김 여사와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당시 국민의힘 대표) 등에게 김영선 전 국민의힘 의원 공천을 요청할 수 있었던 경위나 공모 관계 확인을 위해선 여론조사업체 PNR 압수수색이 필요하단 내용이 포함됐다.
수사팀은 “김 여사는 명씨가 제공하는 여론조사를 단순히 참고삼아 받은 것을 넘어 윤석열 후보에게 유리한 여론조사를 요청한 게 아닌지 의심할 만한 정황이 있다”고 썼다.
검찰이 확보한 메시지에 따르면 명씨는 지난 2021년 7월 12일 “지난 주말에 본인들에게 우호적이지 않게 여론조사가 나오는 언론사나 여론조사 기관은 중지 압력을 주었습니다”라고 했다. 김 여사는 이에 “걱정이네요”라고 답했다.
이를 두고 수사팀은 “김 여사는 명씨가 제공하는 여론조사가 윤 후보에게 우호적인 점과 이재명 후보에게 우호적이지 않아 이 후보 측에서 중단 압력을 가하는 점을 인식한 것으로 의심된다”고 적었다.
같은 달 명씨가 공표 예정인 PNR 대선 후보 여론조사 결과를 알려주며 보안 유지를 부탁하자 김 여사는 “충성”이라고 답했다.
김영선 전 의원의 회계 담당자이자 미래한국연구소 부소장으로 일한 강혜경씨가 작성한 자료에 따르면 연구소는 윤 대통령을 돕기 위해 81차례의 공표·비공표 여론조사를 실시했고, 3억7520만원이 들었다.
이 비용은 모두 연구소가 부담했고, 검찰은 해당 자료가 김 여사 등에게 제공됐다고 판단했다.
강씨는 명씨가 대선 즈음 여론조사 분석 자료를 갖고 김 여사를 만난 것으로 생각되고, 그로부터 약 일주일 후 김 전 의원이 전략공천됐다며 명씨가 ‘3억원을 받는 대신 김영선을 전략공천하도록 했다’는 취지로 말했다고 진술했다.
검찰은 김태열 전 미래한국연구소장 역시 명씨가 김 여사에게 대선 여론조사 비용을 청구하려 찾아갔으나 대신 공천을 받아왔다는 취지로 진술했다고 보고서에 적었다.
81차례의 여론조사에 대해선 조작된 정황이 있다는 것이 검찰 판단이다. 검찰은 이 조사들이 ▲원데이터 조작 ▲특정 연령·성별에 가중치 주기 ▲다른 데이터를 가져와 여론조사한 것처럼 꾸며내기 등의 수법을 사용해 이뤄진 것으로 봤다.
수사팀은 “김 전 의원 공천 과정에서 정치권 핵심 인물의 개입이 있었는지에 대해 국민적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며 “실체적 진실 규명을 이해선 이 의원 등의 개입이 있었는지, 구체적 개입 과정은 어떻게 되는지 꼭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썼다.
한편, 검찰은 최근 명씨의 공천개입 의혹 사건을 서울중앙지검으로 이송했다. 명태균 수사팀은 오는 27일부터 이틀간 명씨를 창원에서 조사할 예정이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