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극, 명배우 복귀에 성장세
우리나라 공연 시장 규모가 지난해 1조4537억원대를 기록했다. 전년보다 14.5% 성장했는데 대중음악이 7569억원, 뮤지컬 분야가 4651억원, 미술·서커스 분야가 2856억원, 클래식 분야가 1009억원, 연극 분야가 734억원, 무용 분야가 206억원, 국악 분야가 48억원 등을 기록했다.
문화체육관광부와 예술경영지원센터는 18일 공연예술통합전산망 데이터를 토대로 이 같은 ‘2024년 총결산―공연시장 티켓판매 현황 분석 보고서’를 공개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 사태 이후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공연 건수는 지난해 2만1634건으로 6%, 공연 회차는 12만5224회로 7.4%, 총 관람권 예매 수는 2224만매로 6.1% 증가했다. 관람권 1매당 평균 가격도 지난해보다 약 5000원 상승한 6만5000원으로 집계됐다.
장르별로는 대중음악이 가장 큰 성장세를 보였다. 대중음악 공연의 관람권 총판매액은 7569억원으로 전년 대비 31.3% 증가했다. 공연 건수는 9.8%, 관람권 예매 수는 22.2% 늘어났다. 이는 1만석 이상 대형 공연과 전국 투어 공연, 글로벌 스타들의 내한 공연 증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된다.
뮤지컬 분야는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한 2023년과 비교해 공연 건수와 관람권 예매 수에서 다소 감소했다. 다만 공연 회차가 4.9% 증가하며 전체 관람권 판매액도 4651억원으로 소폭(1.3%) 증가했다.
연극은 공연 건수 7.5%, 공연 회차 7.3%, 관람권 예매 수 4.6%, 판매액 16.5% 증가로 전 부문에서 성장세를 보였다. 배우 황정민과 전도연, 조승우 등 대중적 인지도가 높은 배우들의 연극 무대 복귀가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유인촌 문체부 장관은 “여전히 수도권이 공연의 공급과 수요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며 “국립예술기관의 서비스를 지역으로 적극 확대해 전국 어디서나 국민이 다양하고 우수한 공연을 만날 수 있도록 힘쓰겠다”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