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사설] 작년에 안전대책 세웠는데 또 어선 침몰 10명 사망·실종

관련이슈 사설

입력 : 2025-02-09 23:18:55 수정 : 2025-02-09 23:18:55

인쇄 메일 url 공유 - +

어제 새벽 전남 여수 인근 해상에서 14명이 승선한 139t급 대형 트롤 선박인 제22 서경호가 침몰하면서, 열흘도 안 돼 어선 사고로 인한 인명피해가 또다시 발생했다. 기상특보가 발령됐는데도 조업을 하다가 한국인 선장 등 5명이 숨지고 5명이 실종됐다. 지난 1일에는 제주 인근 해상에서 근해채낚기 어선이 갯바위에 좌초해 3명이 숨지고 1명이 실종된 바 있다. 어선 침몰 사고로 어민 사망·실종이 잇따르자 정부가 지난해 예방대책까지 마련했지만, 참사가 되풀이되는 현실이 안타깝다.

 

여수해양경찰서에 따르면 총 5척으로 선단을 이뤄 항해하던 서경호는 구조 요청 무전 등 별다른 징후 없이 행방불명됐다고 한다. 이런 규모의 선박에는 해경에 조난신호를 발신하는 기능이 탑재된 초단파대무선전화(VHF-DSC) 통신 장비를 의무적으로 설치해야 하는데, 서경호는 VHF 교신을 통한 조난신호도 보내지 않았다니 납득하기 어렵다. 사고 원인을 철저히 규명해야 한다. 생존 선원들은 “항해 중 거센 파도와 바람 탓에 선체가 전복됐다”고 증언하고 있다. 사고 해역은 실종자 수색에 나선 해경 5t 고속단정이 뒤집힐 만큼 기상 여건이 나빴다고 한다. 그런데도 사망 선원 2명은 구명조끼도 입지 않은 채 해상 표류 중 발견됐다니 안전 불감증이 놀라울 따름이다.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어선 전복과 침몰, 충돌 등으로 인한 사망·실종자는 2023년 78명에서 지난해 119명으로 52%나 늘었다. 2014년 133명이 사망·실종된 이후 가장 많은 수치다. 사망·실종자가 3명 이상 발생한 대형 해양사고도 10건에 이른다. 정부는 지난해 5월 맞춤형 대응으로 2027년까지 인명피해를 30% 이상 줄이겠다는 ‘어선 안전관리 대책’을 내놨다. 당시 강도형 해수부 장관은 “어업인이 안전한 환경에서 마음 놓고 생업에 임할 수 있도록 대책을 실효성 있게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말만 앞세운 ‘발표용’이 아닌지 묻지 않을 수 없다.

 

전문가들은 안전 교육이 정기적으로 이뤄지지 않는다는 점을 가장 큰 문제로 꼽는다. 일차적으로 어민들이 안전에 대한 경각심을 높여야 하겠지만, 정부도 어민·어선 안전 교육이 형식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게 아닌지, 구조적 허점은 없는지 재점검해야 한다. 바다에선 첫째도 안전, 둘째도 안전이라는 사실을 되새겨야 한다. 그래야 서경호 같은 참사가 되풀이되지 않을 것이다. 어민 가족들의 눈물을 더는 보고 싶지 않다.


오피니언

포토

수지 '매력적인 눈빛'
  • 수지 '매력적인 눈빛'
  • 아일릿 원희 '반가운 손인사'
  • 미야오 엘라 '시크한 손하트'
  • 박규영 '사랑스러운 볼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