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공수처, 이상민·한덕수 ‘핑퐁 이첩’ 논란

입력 : 2025-02-04 18:57:39 수정 : 2025-02-04 23:16:30
유경민 기자 yookm@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사건 넘겨받은 검·경에 재이첩
“李 직권남용 성립 여부 불분명”
한덕수 사건엔 “중복 수사 방지”

수사 지체 논란엔 “검토 등 적절”
경찰 수뇌부 등 남은 수사 총력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가 12·3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한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과 한덕수 국무총리의 내란 혐의 등 사건을 검찰과 경찰에 다시 넘겼다. 공수처는 이첩받은 사건을 다시 돌려보내 수사가 지체됐다는 지적에 대해 ‘제때 적절하게 수사했다’는 입장이다.

“국민 혼선 우려”… 또 증인 선서 거부한 이상민 김선호 국방부 장관 직무대행(왼쪽 첫 번째) 등이 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청문회에서 증인 선서를 하고 있다.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왼쪽 세 번째)은 선서를 거부하고 자리에 앉아 있다.허정호 선임기자

4일 공수처에 따르면 공수처는 전날 경찰에 한 총리와 이 전 장관의 사건을 이첩한 데 이어 검찰에도 이날 오후 이 전 장관 사건을 이첩했다. 내란죄에 대한 수사권이 없는 공수처는 직권남용 혐의 등 수사 대상 범죄의 ‘관련 범죄’로 내란죄에 대한 수사를 진행했는데, 이 전 장관의 직권남용 혐의 성립 여부가 불분명하다는 판단에서다. 한 총리 사건을 재이첩하는 이유에 대해선 “중복 수사 방지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경찰이 지난해 12월 한 총리 조사를 한 차례 진행하고 계속 수사 중인 점이 고려됐다.

 

공수처는 이첩 요청권을 행사해 경찰과 검찰로부터 각각 지난해 12월16일과 26일에 윤 대통령과 이 전 장관 사건 등을 넘겨받았는데, 다시 이 전 장관 사건을 양측에 반환한 것이다.

 

공수처 관계자는 이첩 요청해서 받은 사건을 다시 돌려보내며 두 피의자에 대한 수사가 지체됐다는 비판에 대해 “이 전 장관의 단전·단수 의혹이 국회에서 불거지자마자 관련자 진술을 받았고 자료도 검토했기 때문에 지체됐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일축했다. 두 수사기관에 각각 사건을 반환하는 이유에 대해선 “경찰은 사건을 이첩할 때 3가지 혐의를 적시한 반면, 검찰은 군형법상 반란 혐의를 포함해 8가지 혐의를 이첩했다”며 “검찰이 보는 혐의점이 많고 현재 군 검사들이 함께 수사하는 검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본부가 반란 혐의를 수사하는 게 맞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지난 1월 24일 정부과천청사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앞을 공무원들이 지나가고 있다. 과천=뉴시스

공수처는 비상계엄 태스크포스(TF)를 유지하며 경찰 간부 등 남은 수사 대상에 대한 수사에 총력을 모으기로 했다. 경찰이 공수처에 이첩한 피의자 총 15명 중 경찰 간부는 조지호 경찰청장, 김봉식 서울경찰청장, 김준영 경기남부경찰청장(치안정감), 목현태 전 국회경비대장(총경)이다.

 

조 청장과 김 청장은 이미 구속기소된 상태인 만큼, 김 청장과 목 전 대장만 남았다. 공수처 관계자는 “경찰 간부는 저희가 직접 기소할 수도 있어서 최선을 다해 수사력을 모을 계획”이라고 말했다. 공수처는 경무관 이상 경찰 공무원에 대한 기소권을 갖는다.


오피니언

포토

아이들 슈화 '반가운 손인사'
  • 아이들 슈화 '반가운 손인사'
  • 신예은 '매력적인 손하트'
  • 김다미 '깜찍한 볼하트'
  • 문채원 '아름다운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