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중권 광운대 특임교수는 최근 국민의힘이 정당 지지율 여론조사에서 더불어민주당을 역전한 데 대해 “착시효과에 불과하다. 사법리스크에 연루된 ‘이재명 대통령’에 대한 불안이 반영된 것”이라고 말했다.

진 교수는 21일 유튜브 채널 ‘시사저널 TV’에 출연해 “여야 모두 결과를 과대평가하고 있다”며 이같이 분석했다. 그는 “기껏 해봐야 탄핵 전 상태로 돌아간 것”이라며 “국민의힘에 절대 유리하지 않고, 민주당은 지레 겁을 먹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간과된 부분이 두 가지가 있는데, 첫 번째는 조국혁신당 지지율이 포함되지 않았다는 것”이라며 “범민주 지지율을 합쳐서 비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두 번째는 보수층이 과표집돼 있는 점”이라며 “대통령이 탄핵 심판부터 체포, 구속까지 되며 보수층의 분노가 한껏 올라왔다”고 설명했다.
그는 “민주당 또는 이재명 대표에 대한 불신감으로 인해 지지율이 계엄 이전으로 돌아갔다”며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은 기정사실화돼 사람들이 받아들였다. 하지만 저쪽을 딱 본 순간 이재명에 대한 재판은 왜 질질 끌고 있나 하는, 공정성에 대한 의구심이 생기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 대표의 혐의들이 대부분 유죄로 인정될 경우 시기의 문제일 뿐 결국 감옥에 가게 된다. 이런 사람이 대통령이 되는 것은 아니라는 의견”이라며 “거대 야당은 수많은 사람을 탄핵하고 이상한 법률을 만들어 통과시키는 등 독주를 해왔다. 이에 대한 반감이 있는 것”이라고 했다.

특히 “민주당이 반성하지 않은 채 여론조사 기관을 쫓아다니면 반감은 더욱 심해질 것이다. 민주당은 이 대표를 위해 존재하고, 모든 시간표가 이재명의 대선에 맞춰져 있다”면서도 “여당 역시 보수층만 결집해선 대선에 나갈 수 없다. 계엄 옹호 여부가 대선의 큰 이슈가 될 텐데, 여기서 벗어나려면 윤석열과 확실히 선을 그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진 교수는 “당을 혁신해 2030 젊은 층과 중도층을 잡는 것이 관건”이라며 “이게 해결되면 (조기 대선에서도) 해볼 만한데, 강성 지지층을 중심으로 결집해 이 부분까지 못 가고 있다”고 덧붙였다.
앞서 지난 16일 전국지표조사(NBS)와 한국갤럽 등 주요 여론조사에서 국민의힘 지지율이 민주당 지지율을 오차 범위 내에서 앞섰다는 결과가 발표된 바 있다. 지난 20일 리얼미터가 에너지경제신문 의뢰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도 국민의힘 지지도는 46.5%, 민주당은 39.0%로 집계됐다. 방송인 김어준씨가 운영하는 ‘여론조사 꽃’도 20일 두 정당 간 지지도 격차가 5.1%포인트로 오차 범위 안에 들었다는 결과를 발표했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한편 지지율 위기에 민주당은 여론조사 업체 등록 요건을 법률로 규정하는 등 여론조사 기관 관리를 강화하는 법 개정에 나섰다. 민주당 한민수 의원은 22일 현재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규칙으로 규정된 여론조사 기관·단체의 등록 요건을 법률로 규정하는 내용의 공직선거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개정안에는 여론조사 기관에 대한 정기 점검을 의무화하고, 등록이 취소된 여론조사 기관의 재등록 신청 기간도 제한하는 내용이 담겼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