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덕여대는 2일 남녀공학 전환 반대 점거 농성 중인 이 학교 총학생회의 ‘사과 요구’에 “반대 의사를 폭력으로 행사하는 당사자가 오히려 대학에 사과를 요구하는 어처구니없는 상황”이라고 받아쳤다.
동덕여대 비상대책위원회는 이날 ‘총학생회에 대한 대학의 입장문’에서 “이번 사태의 위법성에 대해 일말의 반성과 책임감이 없는 총학생회 태도를 안타깝게 생각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이번 사태는 두 단과 대학의 발전 방향 중 하나인 공학 전환 논의 중에 발생했다”며 “총학생회는 이를 전면 철회하고 사과하라는 주장을 펼치는데, 무엇을 사과하라는 것인지 이해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대학의 장래와 구성원들 미래는 무엇보다 중요한 상황에서 대학 발전을 위한 논의는 누구나 자유롭게 할 수 있다면서다. 구성원에는 학생뿐만 아니라 교수와 직원 그리고 동문도 포함됐다고 학교 측은 강조했다.
앞서 총학생회 ‘나란’은 지난 1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본관 점거 해제 재고 의사가 있다고 밝히면서, ‘비민주적 진행 방식’에 학교 측이 사과하고 학생 의견 수렴 구조체를 만들라고 촉구했다.
특히 그간 점거 농성으로 ‘자율적인 수업 거부’에 나섰던 학생들의 출결 정상화도 학생회 측은 요구했다.
이에 비대위는 “불법시위와 점거를 하는 총학생회는 조건부 점거 해제를 요구하는데 불법점거에 대한 반성과 책임감은 보이지 않는다”며 “이번 불법행위가 총학의 주동이 아닌 일부 흥분된 학우들의 우발적 행동이었다는 이해하기 어려운 변명을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계속해서 “치밀한 계획으로 인한 불법 점거와 도가 넘는 위법행위 등의 증거물이 넘친다”며 “총학생회는 지금이라도 불법행위 잘못과 책임을 인정하고 빨리 점거를 해제하라”고 쏘아붙였다.
농성 참여 학생들의 출결 정상화 요구에는 학점과의 연관성을 들어 엄격 관리의 중요성을 내세우면서도, 비대위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협박과 종용에 의해 불가피하게 수업 거부에 동참한 학생들이 있다는 점을 참작하겠다”고 덧붙였다.
비대위는 “대학 이미지와 위상이 나락으로 떨어져 취업의 길은 막막하기만 하고, 무엇보다 시위에 참석하지 않은 학생들이 가혹한 사회적 편견과 불이익을 감당해야만 한다”며 이에 대한 책임을 엄격하게 총학에 묻겠다고 경고했다.
동덕여대는 지난달 29일 총학생회장을 비롯한 학생 10여명을 공동재물손괴·공동건조물침입 등 혐의로 서울경찰청에 고소하고, 법원에는 학생들의 학교 본관 점거를 풀어달라는 취지의 가처분 신청도 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