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야생 반달가슴곰 89마리 중 57마리 위치 추적 불가”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4-10-17 12:25:31 수정 : 2024-10-17 12:25:30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반달가슴곰 복원사업을 시작한 지 올해 20년인 가운데 야생에 사는 반달가슴곰 57마리는 현재 위치를 알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이용우 의원이 환경부 등에서 받은 자료를 보면 지리산 등에 사는 반달가슴곰 89마리 중 위치추적기가 부착됐고 작동하는개체는 32마리뿐이다. 나머지 반달가슴곰 19마리는 위치추적기가 부착됐었으나 배터리가 떨어져 작동하지 않거나 추적기가 훼손·탈락한 상태다. 38마리는 복원사업으로 야생에 방사된 개체들이 야생에서 낳은 새끼들로, 위치추적기가 부착된 적 없다.

지리산 반달가슴곰 모습. 연합뉴스

반달가슴곰 위치추적기는 배터리 수명이 2년 정도에 불과하고 곰이 추적기를 뜯어 훼손될 수 있기에 주기적으로 교체해야 하지만 교체가 쉽지 않다. 추적기를 교체하려면 곰을 포획해야 한다. 여기다 야생에서 태어난 개체가 증가하는 상황까지 더해져 위치를 알기 어려운 반달가슴곰이 늘어나고 있다. 곰이 사고로 죽거나 사고를 일으키는 일도 빚어지고 있다.

 

2005년부터 올해까지 올무에 걸리는 등 사고로 폐사한 반달가슴곰은 11마리다. 반달가슴곰이 피해를 일으켜 보험으로 처리된 건수는 2005년부터 올해까지 588건이며 보상액은 올해를 제외하고 10억2800여만원(572건)이다.

 

반달가슴곰 위치추적을 지속하기 어려운 만큼 이제는 ‘서식밀도’와 서식지를 관리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반달가슴곰 복원사업은 한반도 생태 축과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해 2004년 러시아에서 도입한 6마리를 지리산에 방생하면서 본격적으로 시작해 올해 20주년이다. 복원사업을 시작할 때 목표는 ‘최소 존속 개체군’인 50마리 확보로, 목표를 초과 달성했다고 평가된다. 학계에서는 지리산 내 적정 개체수를 56~78마리 정도로 보기에 이제는 야생 반달가슴곰이 너무 많다는 우려도 나온다. ‘야생 곰’의 존재를 인정하고 공존 방안을 모색할 때라는 것이다.

 

이용우 의원은 “종복원 사업의 핵심은 지역주민의 동의와 협조로 자연을 인간과 동물이 함께 쓰고 있다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면서 “야생동물로 인한 피해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시민을 대상으로 안전 교육과 설비를 사전에 철저히 준비해야 한다”고 밝혔다.


정재영 기자 sisleyj@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차정원 '미소 천사'
  • 차정원 '미소 천사'
  • 박규영 '아름다운 미소'
  • 뉴진스 해린 '시크한 매력'
  • 한소희 '완벽한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