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09년 정비 예정구역으로 지정됐다가 장기간 표류했던 서울 서대문구 충정로1구역이 공공재개발을 통해 청년지원시설을 갖춘 297세대 주거단지로 다시 태어난다.
서울시는 지난 11일 제10차 도시계획위원회 정비사업 수권분과위원회를 열고 ‘충정로1 주택정비형 공공재개발사업’ 정비계획 결정 및 정비구역 지정안(조감도)을 수정 가결했다고 13일 밝혔다.
충정로3가 281-11일대인 이곳은 2009년 정비 예정구역 지정 이후 사업이 정체되다 결국 지정 해제됐다. 2021년 3월 공공재개발 후보지로 다시 선정됐다.
시는 이번 심의를 통해 제3종 일반주거지역을 준주거지역으로 상향하고, 용적률 450% 이하·최고 30층 이하 297세대(임대주택 101세대) 공동주택을 건립한다는 정비계획을 수립했다. 29㎡의 소형 평형 주택 54세대(임대 37세대)도 들어갔다.
북측 프랑스대사관과 조화로운 스카이라인을 이루도록 건축물 높이를 다양화했고, 개방감 확보와 상권 활성화 등을 위해 대상지 내에 보·차혼용통로를 계획했다. 시는 추후 이곳에 청년지원시설도 짓기로 했다.
인근에 120년 된 서양식 건물인 ‘충정각’은 앞서 시가 보존 가치를 인정해 존치하기로 결정했는데, 이곳 주변에 휴게시설 기능을 병행할 수 있는 공공공지와 보행통로도 만들 방침이다.
한병용 시 주택실장은 “충정로역 일대는 인근 마포5구역 정비사업과 함께 ‘직주근접’이 실현되는 양질의 주택 공급은 물론, 정비구역 해제로 장기간 노후되고 열악했던 주거 및 도시 환경에 질적 변혁을 일으킬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지난 11일 시의 제6차 정비사업 통합심의위원회에선 ‘신길13 재정비촉진구역 공공재건축사업’과 ‘을지로3가 제9지구 도시정비형 재개발사업’의 심의안도 통과됐다. 신길13구역은 서울주택도시공사(SH)가 시행자로, 신길동 340-1번지 일대에 지하 5층∼지상 35층의 아파트를 짓는 사업이다. 공동주택 586세대가 들어선다. 시는 이번 심의에서 단지 내 보행길을 보다 편리하게 마련하라고 주문했다.
을지로3가 제9지구 도시정비형 재개발사업은 을지로3가 5-1번지 일대의 노후한 건물들을 정리하고 지상 19층 업무시설 건물 1개 동을 짓는다는 내용이다. 시는 심의에서 건물 저층부 디자인 특화 등을 권고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