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자산가 하반기 투자 “주식 6:채권 4” [경제 레이더]

입력 : 2024-07-03 06:00:00 수정 : 2024-07-02 19:08:50

인쇄 메일 url 공유 - +

금융자산 5억원 이상의 자산가들은 올해 하반기 주식과 채권 비중을 ‘6대 4’로 두는 것을 이상적 자산 배분으로 판단한 것으로 나타났다.

2일 삼성증권 디지털자산관리본부에 따르면 지난달 11∼14일 예탁 자산 5억원 이상의 ‘에스(S).라운지(Lounge)’ 고객을 설문 조사한 결과 응답자 3797명은 이상적인 금융자산 포트폴리오 투자 비중을 이같이 제시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이들 자산가는 상장지수펀드(ETF)를 포함한 국내외 주식과 그 외 자산(채권, 대안상품, 연금 등)의 균형 잡힌 포트폴리오는 6.5대 3.5지만, 채권형 ETF를 고려하면 자산 배분은 주식 60%, 채권 40%인 것이 가장 이상적이라고 답했다.

설문에 참여한 고객 가운데 42.5%는 하반기 유망한 투자처로 국내 주식을 꼽았다. 해외주식(35.9%), 채권(9.9%)보다 높았다. 올해 상반기 한국 주식시장이 상대적으로 저평가됐다고 판단한 결과로 풀이된다.

국내외 증시 가운데 유망한 시장을 고르는 문항에서는 미국(45.5%)과 한국(43.4%) 순이었고 이어 신흥시장(7.1%), 중국(2.3%), 일본(0.9%) 순으로 꼽았다. 가장 유망한 업종으로 인공지능(AI)·반도체라는 응답 비율이 74.1%로 가장 많았고, 전기자동차·이차전지는 11.5%, 제약·바이오는 7.3%였다.

채권 투자 시 가장 선호하는 만기는 ‘1년 이상∼3년 미만’이라는 응답이 47.8%를 차지했다. ‘3년 이상∼5년 미만’(19.9%), ‘1년 미만’(15.6%) 등이 그 뒤를 이었고, 10년 이상 장기채는 9.4%로 선호도가 비교적 낮았다. 만기 1년 미만의 신용등급 ‘A+’ 이상 회사채에 투자한다고 가정할 때 기대하는 수익률은 연 4∼5%인 것으로 조사됐다.

미국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시기로 4분기를 꼽는 응답이 51.2%로 과반을 차지했다. 아울러 하반기 금융시장 리스크로는 미국 대통령 선거 등 대외 변수(34.4%), 인플레이션과 기준금리 인하 지연(33.1%), 각국 정책 변수(18.5%)가 1∼3위를 차지했다.


이도형 기자 scope@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전지현 '눈부신 등장'
  • 전지현 '눈부신 등장'
  • 츄 '상큼 하트'
  • 강지영 '우아한 미소'
  • 이나영 ‘수줍은 볼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