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승민 전 국민의힘 의원은 해병대 채 상병 순직 사건으로 업무상과실치사 혐의를 받는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이 채 상병 죽음에 대한 책임을 부하들에게 떠넘겼다며 “저런 장군은 국군의 수치이고 해병의 수치”라고 맹비판했다.
유 전 의원은 12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린 글에서 “임 전 사단장은 자기 혼자 살겠다고 인간이 얼마나 비겁할 수 있는지 여실히 보여줬다”며 “윤석열 대통령은 왜 저런 자를 감싸고 도는지 도무지 이해할 수 없다”고 했다.
앞서 임 전 사단장은 지난 10일 경북경찰청에 “군인은 국가가 필요할 때 군말 없이 죽어주도록 훈련되는 존재”라며 “상관의 명령과 지시에 따라 작전을 수행했던 부하들이 선처받기를 희망한다”는 내용의 탄원서를 제출한 바 있다.
탄원서에는 “11대대장이 포병의 위상을 높이려고 작전지역을 자의적으로 확대하고, 7대대장 역시 지침 오해로 작전 대상 지역에 수중도 포함되는 것으로 오판해 발생했다”며 책임을 직속부하들에게 돌리는 듯한 내용이 포함됐다.
이에 대해 유 전 의원은 “이건 직속부하인 두 대대장을 구명하려는 탄원서가 아니라 자기 혼자 살아보겠다고 두 대대장에게 채 상병 죽음의 모든 책임을 떠넘기는 졸렬하기 짝이 없는 처사”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군인은 국가가 필요할 때 군말 없이 죽어주도록 훈련된 존재다’는 임 전 해병대 1사단장이 한 말이다. 채 상병을 죽음으로 내몬 과실치사 피의자가 부하의 죽음 앞에 어떻게 이런 말을 할 수 있느냐”라고 반문했다.
이어 “적과 싸울 때 목숨을 걸어야 하는 건 당연히 군인의 본분이다. 그러나 적과 교전할 때도 방탄조끼는 입고 싸운다”면서 “적과의 교전이 아니라 실종 민간인을 수색하는 일에 해병대 홍보를 위해 빨간셔츠 위에 구명조끼도 입히지 않은 채 내성천 급류에 휩쓸려 가도록 명령한 자가 누구인데, 인간의 탈을 쓰고 어찌 이따위 망발을 함부로 한다는 말이냐”라고 지적했다.
그는 나아가 “임 전 사단장의 망발은 채 상병 특검법이 반드시 통과되어야 할 또 하나의 이유”라면서 “예비역 육군병장으로서 끓어오르는 분노를 억누르기 힘들다”라고 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