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원, 작년 안전사고 2만2371건
저출생에도 3.4%↑… 소비자안전주의보
영아기(만 0세)에 발생하는 안전사고 10건 중 6건은 추락으로 나타났다. 고온 물질로 인한 화상 등은 걸음마기(1~3세)에서 가장 많이 일어나는 것으로 조사됐다.
공정거래위원회와 한국소비자원은 최근 증가하고 있는 어린이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소비자안전주의보’를 발령했다고 30일 밝혔다.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어린이 안전사고는 2만2371건 접수돼 전년(2만1642건)보다 3.4%(729건) 늘었다. 2022년에도 전년 대비 36.4% 증가하는 등 저출생에도 증가 추세다.

안전사고는 만 3세 이하에서 주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달단계별로 보면 인구 1000명당 영아기에서 12.4건, 걸음마기 10.0건, 유아기(4~6세) 4.4건, 학령기(7~14세) 1.8건 순으로 파악됐다.
어린이 안전사고의 유형을 발달단계별로 분석(최근 5년 기준)한 결과 영아기에는 추락 사고가 62.4%(6772건)로 가장 많았다. 그 외 단계에서는 미끄러짐·넘어짐 사고가 가장 두드러졌다. 걸음마기에서 28.4%, 유아기에서 34.9%, 학령기에서 35.3%로 각각 조사됐다.

특히 고온 물질에 의한 화상 등이 늘고 있어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고 공정위·소비자원은 강조했다. 화상 등 안전사고는 2021년 354건에서 2022년 461건, 2023년 561건으로 증가세다. 최근 5년간 고온 물질에 의한 사고는 2684건인데, 58.0%(1558건)가 걸음마기에서 발생했다. 화상 사고를 유발하는 주요 품목은 ‘주방가전’이 38.7%(1040건)로 가장 많았다.
공정위와 소비자원은 추락 사고 예방을 위해 침대에 난간을 설치하고, 유모차·카시트 등을 잠깐 사용하더라도 안전띠를 채워줘야 한다고 권고했다. 또 미끄러짐·넘어짐 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미끄럼 방지 바닥재나 매트 등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