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50주년 맞은 종자원… “2030년 종자 수출액 1억달러로 확대”

입력 : 2024-05-22 10:31:16 수정 : 2024-05-22 10:31:15
세종=안용성 기자 ysahn@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국립종자원이 설립 50주년을 맞았다. 종자원은 2030년까지 종자 수출액을 1억달러 이상으로 늘리고, 10년 안에 세계 10위권의 종자기업을 배출하겠다고 밝혔다.

 

국립종자원은 올해 설립 50주년을 맞아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비전을 22일 발표했다.

 

국내 종자 시장 규모는 세계 종자 시장(56조원)의 1.4%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종자원은 이 같은 상황에서 국내 종자산업의 규모화, 전문화를 촉진해 세계적인 종자 기업을 배출하겠다고 밝혔다. 매출 규모가 5억∼15억원 정도인 중규모 이상의 업체를 중심으로 지원을 강화하겠다는 것이다.

 

김기훈 종자원장은 “현재 대한민국에는 15위 이내 종자 기업이 한 곳 있다”며 “앞으로 10년 이내에 글로벌 10대 종자 기업을 육성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종자원은 또 종자업체의 수출 지원에도 적극 나서기로 했다. 해외 전시·박람회 홍보 비용을 지원하고, 종자산업을 고기술, 고품질, 고부가 산업으로 발전시키겠다는 취지다. 이를 바탕으로 종자 수출액을 2021년 6100만달러(약 832억원)에서 오는 2030년 1억달러 이상으로 늘리는 것이 목표다.

 

이 밖에 종자원은 이상기후에 대응한 종자 생산·공급 시스템을 구축하고 농촌진흥청 등이 개발한 고품질 종자를 농가에 신속하게 보급하겠다고 밝혔다. 과수 무병묘 보급도 늘려 보급률을 지난해 10.3%에서 2026년 60%까지 높일 방침이다. 또 김장 채소인 무, 배추와 양념 채소인 고추, 마늘, 양파 등의 자급률을 높이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겠다고 전했다.

 

국립종자원은 식량 생산을 높이기 위해 1974년 11월 설립됐다. 현재 정부 보급종 생산, 종자산업 육성, 식물 신품종 보호, 종자 검정 연구, 종자 전문인력 양성 등의 업무를 하고 있다.

 

특히 식량작물의 정부 보급종 공급률을 1976년 4.3%에서 지난해 52%까지 끌어올렸다. 2002년 1월 국제식물신품종보호연맹(UPOV)에 50번째 회원국으로 가입한 뒤 2022년 연맹회원 78개국 중 품종보호출원 건수로 9위, 등록 건수로 8위에 각각 올랐다.


세종=안용성 기자 ysah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있지 유나 '반가운 손인사'
  • 있지 유나 '반가운 손인사'
  • 에스파 카리나 '민낮도 아름다워'
  • 한소희 '완벽한 비율'
  • 최예나 '눈부신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