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사히 신문 취재엔 “노코멘트”

일본 육상자위대의 한 부대가 공식 사회관계망서비스(SNS) 계정에 침략전쟁인 태평양전쟁을 미화하는 ‘대동아전쟁’(大東亞戰爭)이란 표현을 버젓이 쓴 것으로 8일 확인됐다.
육상자위대 제32보통과 연대는 지난 5일 엑스(X·옛 트위터)에 “32연대 대원이 대동아전쟁 최대 격전지 이오지마(硫黃島)에서 개최된 일·미 이오지마 전몰자 합동 위령추도식에 참가했다”는 글을 올렸다. 이어 “조국을 위해 존귀한 생명을 바친 일·미 양국 영령의 명복을 빈다”며 관련 사진을 첨부했다. 일본과 괌 중간쯤에 위치한 이오지마는 1945년 미군이 일본군과 격전 끝에 점령한 곳으로, 성조기를 세우는 사진으로 유명하다. 아사히신문은 해당 부대가 이에 대해 “코멘트할 수 없다”고 밝혔다고 전했다.
일본 정부 대변인인 하야시 요시마사(林芳正) 관방장관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관련 질문을 받고 “대동아전쟁이라는 용어는 현재 일반적으로 정부 공문서에 사용하지 않고 있다”며 “공문서에 어떠한 용어를 사용할 것인지는 문맥 등에 따른 것으로, 일괄적으로 답하는 것은 곤란하다”고 말했다.
대동아전쟁은 일본이 식민 지배한 아시아 권역 등을 하나로 묶은 이른바 ‘대일본제국’이 서구 열강에 맞서 싸웠다는 인식을 담고 있어 식민지 지배와 침략전쟁을 정당화하는 의도를 담은 용어다. 1941년 12월 각의(국무회의)를 통해 태평양전쟁을 ‘대동아전쟁’으로 부르기로 했는데, 종전 후 일본을 점령한 연합군최고사령부(GHQ)는 이 표현을 쓰지 못하도록 했다. 지금도 대부분의 정치인, 언론, 교과서는 대동아전쟁 대신 태평양전쟁이나 제2차 세계대전이라고 표현한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