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성인 52%만 “결혼하겠다”… “아이 낳지않겠다” 46% [오늘의 정책 이슈]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 오늘의 정책 이슈 , 세계뉴스룸

입력 : 2024-03-17 18:00:00 수정 : 2024-03-17 21:45:49

인쇄 메일 url 공유 - +

“결혼할 의향이 있다”는 성인이 절반을 겨우 넘는 것으로 조사됐다. “아이를 낳지 않겠다”는 성인도 절반에 가까웠다. 남성이 여성보다 결혼 의사가 높았다.

 

사진=연합뉴스

◆성인 51.7% “결혼할 생각 있다”

 

17일 대통령 직속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에 따르면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지난해 8월 8~25일 전국 만 19∼49세 남녀 2000명을 설문조사한 결과 현재 결혼한 성인을 제외한 설문 대상 1059명 중 51.7%만 “결혼할 생각이 있다”고 답했다. “결혼할 생각이 없다’고 응답한 이들은 24.5%였고, “아직 결정하지 못했다”는 응답도 19.1%였다. 성별론 남성(56.3%)이 여성(47.2%)보다 결혼하고 싶어 했다.

 

연령별로 결혼하겠다고 응답한 비율은 20대에서 30대로 가면서 점차 오르다가 30∼34세(58.7%)에서 정점을 찍은 뒤 감소했다.

 

◆‘대학원 이상 졸업자’ 결혼 응답 가장 높아

 

최종 학력별로 보면 대학원 이상 졸업자(65.9%)에서 결혼할 생각이 있다는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현재 동거 중이거나 사실혼 관계인 응답자들은 71.5%가 결혼 의향이 있었고, 이혼 등으로 다시 혼자가 된 이른바 ‘돌싱’은 26.9%만 결혼 생각이 있었다.

 

설문 대상 전원에게 아이를 낳을지 물었더니 “낳지 않을 생각”이라고 답한 응답자가 46.0%로 가장 많았다. 낳을 생각이라는 응답자는 28.3%였다.

 

아직 아이가 없는 기혼자(동거·사실혼·법률혼 포함) 중에서는 “낳을 생각이다”(46.5%), “아직 결정하지 못했다”(26.4%), “낳지 않을 생각이다”(24.7%) 순으로 응답률이 높았다.

 

자녀가 한 명 이상 있는 기혼자들의 경우 “더 낳지 않겠다”는 응답이 76.1%로 가장 많았다. 낳겠다는 응답은 9.0%였다.

 

지난 2월 28일 서울 시내 한 산후조리원 신생아실에서 간호사가 신생아들을 돌보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성인 93% “저출산이 미래세대 삶에 부정적 영향”

 

저출산 현상이 사회적 문제인지 물었을 때 전체 설문 대상 대부분(“매우 그렇다” 51.9% + “그런 편이다” 42.0%)이 동의했다.

 

저출산 현상이 미래 세대의 삶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93.1%나 됐다.

 

저출산 현상의 여러 원인들에 점수를 매겨달라는 항목에선 ‘일과 육아를 병행하기 어려운 구조’가 8.72점으로 가장 높았다.

 

전체 설문 대상의 22.0%만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육아휴직, 유연근무제도 등을 포함한 일·가정 양립 정책을 알고 있다고 답했다.

 

연구책임자인 이소영 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은 “국민들의 정책 이용도를 높이고, 정책이 결혼이나 출산을 선택하는 데 영향을 미치려면 적극적으로 홍보와 교육을 해야 한다”며 “정책 수요자인 국민의 관점을 반영한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 지속해서 조사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재영 기자 sisleyj@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전지현 '눈부신 등장'
  • 전지현 '눈부신 등장'
  • 츄 '상큼 하트'
  • 강지영 '우아한 미소'
  • 이나영 ‘수줍은 볼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