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관리 등 생산성 개선 필요”
한국 기업 근로자가 업무시간 중 약 1시간20분 정도를 흡연 등 개인적인 일에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런 시간을 줄여 업무집중도를 더 높여야 한다는 지적이 경영단체에서 나왔다.
10일 한국경영자총협회가 발표한 ‘주요 기업 근로자 업무몰입도 현황조사’에 따르면, 매출액 상위 100대 기업(공기업 제외) 및 경총 주요 회원사 인사담당자들이 자사 근로자(사무직)의 업무몰입도를 평가한 결과 100점 만점에 평균 82.7점으로 나타났다.

업무몰입도는 흡연이나 인터넷서핑, 사적외출 등을 하지 않고 업무에 사용하는 시간을 말한다. 82.7점은 근로자들이 하루 8시간 근무한다고 할 때 17%, 약 1시간20분가량은 업무 외 활동을 한다는 의미다.
사적 활동이 평균 1시간 이상 2시간 미만(75점 이상, 87.5점 미만)인 기업이 65.3%로 가장 많았고, 1시간 미만(87.5점)인 기업은 전체의 22.4%로 조사됐다. 2시간 이상(75점 미만)인 기업은 12.2%였다.
조사기업의 대부분(93.9%)은 업무몰입도를 향상할 여지가 있다고 봤다. 그러나 54%는 업무시간 내 사적 활동에 대해 거의 대응을 하지 않고 있었다. ‘잦은 자리 비움 등 눈에 띄는 부분만 관리’가 38%, ‘근로자 반발 등을 이유로 거의 관리하지 않음’이 16%였다. PC체크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관리한다는 기업은 26%에 그쳤다.
분석 결과 관리하지 않는 기업일수록 업무몰입도 점수가 낮았다.
하상우 경총 경제조사본부장은 “우리나라 근로자의 업무몰입 수준이 높다고 볼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근로시간의 효율적 활용과 업무시간 내 사적활동 자제, 성과관리시스템 구축 등 적극적 인사관리를 통한 노동 생산성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