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 집단 사직 후 응급실 환자 거부 늘어
구급센터 대국민 안내도 소폭 증가
최근 들어 119구급상황관리센터에 “병원을 찾아달라”는 구급대 요청이 급증했다. 전공의 집단 사직으로 응급실 내원이 어려워지면서 119에 이런 요청이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28일 소방청에 따르면 지난 16∼26일 구급상황관리센터의 일평균 병원 선정 건수는 66건으로, 지난해 2월 일평균 건수인 38건보다 73.7% 늘었다.
구급대는 평소에 직접 병원을 찾는 경우가 많다. 다만 구급대 요청 시 구급상황관리센터는 환자의 중증도를 판단해 ‘중증·응급환자’는 권역응급의료센터나 대형병원으로, ‘경증·비응급환자’는 지역 응급의료기관이나 인근 병·의원으로 이송하도록 병원을 선정하는 업무를 한다.

이번달 들어서는 구급상황관리센터에 병원 선정을 요청하는 건수가 급증했는데, 전공의 이탈 후 응급실 의료인력 부족으로 인해 환자를 받기 거부하는 병원이 늘자 이송 병원을 찾지 못해 이런 현상이 나타난 것으로 분석된다. 소방청 관계자는 “구급대원이 통상적인 상황보다 병원을 찾기 어려울 것으로 판단해 센터에 더 많이 (병원 선정을) 요청하고, 센터에서도 상황이 상황인 만큼 더 적극적으로 병원을 찾아 연결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지난 20∼26일 오전까지 약 일주일간 부산과 대전에서는 응급실 과부하로 인해 각각 42건, 23건의 구급대 지연 이송 사례가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대전에서는 80대 심정지 환자가 ‘응급실 뺑뺑이’를 겪은 후 사망 판정을 받기도 했다. 이 환자는 지난 23일 정오쯤 의식 장애를 겪다가 구급차에 실려 갔으나 전화로 진료 가능한 응급실을 확인하다가 53분 만에 대전 한 대학병원에 도착해 사망 판정을 받았다.
소방청은 구급상황관리센터가 이송 병원을 선정할 때 응급환자 이송 지연 문제를 최소화한다는 방침을 세우고 신고접수대와 상담 인력을 보강했다. 소방청 관계자는 “구급대원이 병원 선정이 아닌 응급환자 처치에 집중할 수 있도록 센터의 역할을 강화한 것이 이번에 제 몫을 하고 있다”고 판단했다.
한편 의료현장 혼란을 고려해 비응급 상황 시 119 신고를 자제해달라는 정부 요청 이후 119 구급대의 응급환자 이송은 소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6∼26일 119 구급대의 일평균 출동 건수와 응급환자 이송 인원은 각각 8294건, 4713명이다. 지난해 2월 평균인 8552건, 4894명과 비교하면 각각 3%, 3.7% 감소했다. 같은 기간 구급상황관리센터의 대국민 응급의료 상담 및 병의원 안내는 6.4%, 응급처치 지도는 2.3% 증가했다.
소방청 관계자는 “병원 진료가 어려운 상황임을 고려해 긴급한 경우가아니면 신고를 자제하는 듯하다”고 분석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