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원로들은 22일 당내 공천 갈등과 관련해 “이재명 대표는 일련의 사태에 책임지는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고 요구했다.
권노갑 상임고문, 정대철 대한민국헌정회장, 이강철 전 청와대 시민사회수석, 강창일 전 주일대사는 이날 입장문을 내고 “오랜 기간 이 당을 지켜온 우리는 이제라도 당이 제자리로 돌아오기를 간절히 바라는 충정에서 입장을 밝힌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들은 “작금 벌어지고 있는 민주당 공천 행태가 민주적 절차와는 전혀 동떨어지고, 당 대표의 사적 목적을 채우기 위한 수단으로 변질됐다” 며 “이를 개탄한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전국에서 조사 행위자가 불분명한 여론조사가 진행됐는데 조사마다 당 대표 쪽 사람임을 노골적으로 드러내는 표현을 붙인 사람을 집어넣고, 그렇지 않은 후보들은 아예 설문에서 제외했다” 며 “이른바 ‘친명’(친이재명) ‘찐명’(진짜 이재명) 후보들을 공천하기 위한 행위”라고 말했다.
아울러 현역 의원 평가 결과를 언급하며 “사전 기획됐다는 의구심이 들지 않을 수 없다” 며 “당 대표의 ‘비선’에서 일정한 목적을 가지고 조사를 왜곡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공당의 모든 행위는 신뢰를 바탕으로 이뤄져야 한다” 며 “지금껏 벌어진 행태에 대한 신속하고 철저한 조사를 통해 잘못된 것을 바로잡고 국민들께 사과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문재인 정부에서 국무총리를 지낸 정세균·김부겸 전 총리도 전날 입장문을 내어 “시스템 공천, 민주적 원칙과 객관성이 훼손되고 있다는 우려를 금할 수 없다”며 이 대표가 나서 상황을 바로잡으라고 촉구한 바 있다.

이들은 “우리 또한 총선 승리에 기여하는 역할을 찾기 어렵다”며 선거에 협조하지 않겠다고 경고했다. 이날 김 전 총리, 김원기 문희상 임채정 전 국회의장 간 회동에서 일부 원로는 이 대표 퇴진과 비대위 전환을 거론한 것으로 알려졌다.
문재인 전 대통령도 우려를 갖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 친문 의원은 “문 전 대통령이 이 대표와의 오찬 회동에서 대표 측근들부터 솔선수범해서 정리해야 한다는 입장을 강조했는데 실행되지 않고 있다”며 “최근 당의 상황에 대한 우려가 큰 상태”라고 했다.
이와 관련, 더불어민주당 총선 상황실장인 김민석 의원은 “원로부터 평당원까지 뜨거운 애당심으로 낙관론과 실언을 각별히 경계해 주길 간곡히 부탁한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간담회를 열고 “국민은 정권심판을 원하지만 상황이 어렵다”며 이같이 밝혔다.
김 의원은 “공천 과정이 여러 논란도 있지만 민주당은 어려운 입장에 처하신 분도 대부분 경선을 선택하고 있다” 며 “공천은 결국 결과로 평가되고 최종 결정은 국민과 당원이 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민주당은 현역의원 평가 결과 하위 10%에 든 박용진 의원의 재심 신청 청구를 기각했다.
박 의원은 이날 중앙당 공직선거후보자추천관리위원회(공관위)의 기각 통보 문자메시지를 공개하며 “중앙당 공천관리위원회에서 논의도 되기 전에 재심 신청 결과가 나온 상황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느냐”고 반문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