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2023년 수도권 주택공급 ‘목표치 69%’ 그쳤다

입력 : 2024-02-09 09:00:00 수정 : 2024-02-08 17:31:18
정재영 기자

인쇄 메일 url 공유 - +

실적 18만가구… 서울은 32% 그쳐
지역업체 인센티브 확대 등 지원 절실
건산연 “올 전국 주택가격 2% 하락”

지난해 인허가 기준으로 따진 수도권 주택 공급물량이 정부 목표치의 69%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은 지난해 2만6000가구의 인허가가 이뤄져 목표치(8만가구)의 32% 수준에 불과했다.

8일 국토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주택 공급 실적(인허가 기준)은 38만9000가구로, 정부 계획 물량 47만가구의 82.7% 수준이다. 비수도권 공급은 계획 물량(21만가구) 대비 실적이 99.3%(20만8000가구)로 목표 물량을 거의 달성했다.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 모습. 뉴스1

문제는 수도권 공급이다. 지난해 수도권 공급 계획 물량은 26만가구였는데, 실적은 18만가구로 목표치의 69.4%에 그쳤다. 특히 서울 주택 인허가는 2만6000가구에 그쳐 목표치에 크게 미달했다.

김지혜 국토연 부연구위원은 전날 열린 ‘부동산시장 현안 대응을 위한 세미나’에서 “수요에 비해 공급이 부족한 수도권 주택 상황이 더 악화하지 않도록 서울과 수도권 지역의 공급 회복을 위한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국토연은 원활한 주택 공급을 위해 단기적으로는 공공부문의 공사비 갈등 조정기능을 강화하고, 신탁방식 재정비 사업 때 주민 의견이 제대로 반영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해 주택 사업 기간을 단축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중장기적으로는 재개발·재건축 관련 공공 지원 조직을 키워 설계사 선정 및 관리, 시공사 입찰 과정을 지원해야 한다고 했다.

주택 공급 기반을 개선하기 위해 지역 업체 인센티브 제도를 확대해야 한다는 제안도 나왔다. 소수 건설사에 주택 공급을 의존하면 변동성이 확대되고, 위기가 왔을 때 리스크가 빠르게 전이될 우려가 있다는 것이다.

김 부연구위원은 “2018년 이후 부산, 광주, 대구를 중심으로 지역업체가 재건축·재개발 사업에 참여할 때 용적률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제도를 운용했다”며 “이를 정비해 해당 지역 건설사뿐 아니라 중소·중견 건설사가 참여할 때도 일정한 인센티브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올해 주택가격이 전국 평균 2% 하락할 것이라는 전망도 내놓았다. 전국 집값은 2022년 4.7%, 지난해는 3.6%(잠정치) 떨어졌다. 낙폭이 줄었지만 3년 연속 하락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건산연은 수도권 집값이 1%, 지방은 3%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다. 전셋값은 올해 2.0%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김성환 건산연 부연구위원은 “(대출 관련) 정책이 강화되고 금리 인하가 난망해 (부동산 시장에) 추가로 자금이 유입되기 어렵다”며 올해 ‘상고하저’ 흐름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했다.


오피니언

포토

복근 드러낸 김태리, 신비롭고 몽환적이고 섹시하고
  • 복근 드러낸 김태리, 신비롭고 몽환적이고 섹시하고
  • 정려원 '완벽한 미모'
  • 초아, 청량한 분위기
  • 박보영 동안 미모 과시…상 들고 찰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