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인 불편 최소화하기 위해 통행을 막는 기간도 최소화하려고 애쓰고 있다”

서울시 중구청이 서소문 부영빌딩 후문 부출입구인 공공보행통로를 폐쇄하기로 하면서 부영빌딩 및 인근 상가 점포 상인들과 마찰을 빚고 있다.
7일 업계에 따르면 부영빌딩과 맞닿아있는 서울시 공영주차장 부지에 중구청이 11층 규모의 소공동 행정복합청사를 건축하기로 했다. 50년 동안 사용 중이던 바로 옆 공공보행통로까지 폐쇄하기로 통보하면서 인근 상가 및 통행로를 상시 이용하고 있는 시민들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오랫동안 사용하던 공공보행통로가 폐쇄될 경우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직접적으로 매출에 타격을 입을 상인들이다.
상인들은 일대 유동인구가 하루에 1만5000여 명에 달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부영빌딩과 인근 점포들은 외부에서 진입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간판하나 걸 자리조차 없어지기 때문에 당장 생존권에 문제가 된다.
부영빌딩 내 6000여 명의 입주사 및 직원들도 동선의 불편함은 물론 자칫 재난 재해 시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주민들과 인근 상인들은 소공동 행정복합청사 건립 공사에 펜스가 설치되고 보행통로가 차단된다는 사실을 공사 착공 바로 전에 알게 됐다.
인근 점포를 운영 중인 A씨는 “도로를 폐쇄한다는 사실을 이제야 알게 됐다”면서 “이처럼 중요한 정보를 해당 부지 사용자들에게 제대로 알리지 않고 깜깜이로 진행한 밀실 행정 아니냐. 상인들에게는 죽으라는 얘기나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또 다른 상인은 ‘차라리 죽이고 공사해라’라는 현수막을 내붙일 정도로 도로 폐쇄에 강하게 반대하고 있다. B점포 사장은 “코로나도 간신히 버텼는데 중구청의 막무가내식 행정으로 손님이 다 끊기게 생겼다”면서 “생존권을 보장하지 않으면 공사 트럭 한 대도 들어오지 못하게 막을 것”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소공동 행정복합청사가 사업 시행자의 다른 개발 용적률 완화 조건에 따른 기부 채납으로 이뤄지다보니 시에서는 예산 절감 효과를 기대하며 주민 편의는 고려하지 않은 채 졸속으로 진행하고 있다며 기부체납에 대한 투명한 공개가 필요하고, 주민설명회나 주민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이 부족했다는 지적도 일고 있다.
전문가들은 공공보행통로 폐쇄는 현행법을 위반한 것이라고 의견을 밝혔다.
중구청 관계자는 연합뉴스에 "보행로 부지까지 모두 매입했으며 공사 중 위험할 수 있어 공사 기간에만 통행을 막는 것"이라며 "2026년 3월께 완공되면 보행로를 다시 개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상인들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통행을 막는 기간도 최소화하려고 애쓰고 있다"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