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집집마다 남는 약 수두룩… 동네의원 장기 처방 5년 새 2.5배↑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3-10-08 11:30:00 수정 : 2023-10-08 14:03:32
이정우 기자 woolee@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의료기관이 환자에게 180일치 이상 의약품을 장기처방 해주는 사례가 또다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6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최영희 의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80일 이상 의약품 장기처방 건수는 425만건으로 2021년 370만건 대비 1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90일 이상 처방을 해준 건수로 범위를 넓히면 2600만건으로 늘어난다. 2018년과 비교하면 5년만에 1000만건이나 급증했다.

서울 시내 한 약국에서 시민들이 상담을 받고 있다. 연합뉴스

90일 이상 처방을 한 의료기관 종별로는 의원급(병상 30개 미만)이 2018년 305만건에서 767만건으로 2.5배 증가했다. 병원급도 같은 기간 93만건에서 182만건으로 2배 가까이 늘었다. 이 기간 종합병원은 538만건에서 840만건으로 56%, 상급병원은 609만건에서 783만건으로 29% 증가했고, 보건기관만 51만건에서 32만건으로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다.

 

지난해 1년 이상 장기처방 건수도 비슷한 추세를 보였는데 상급종합병원은 2018년 대비 87%, 종합병원은 150%. 병원급은 176%, 의원급은 139% 증가했다.

 

의약품 장기처방은 대형병원의 접근성이 좋지 않은 환자들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지만, 오랜 기간 보관에 따른 처방약의 변질 문제, 환자의 복약 이행을 떨어뜨리는 등의 단점도 있다. 또 복용하지 않고 버려지는 약의 규모도 매년 수천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어 건강 보험 재정 손실 및 사회적 손실을 유발하는 문제도 있다. 해마다 논란이 되고 있지만 쉽게 바뀌지 않고 있다. 처방일수를 적정 수준으로 제한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꾸준히 나온다.

 

최영희 의원은 “현재 정부가 통제 가능한 보건기관만 장기처방 감소세를 보이고 있는데 민간에도 적용될 수 있도록 정부의 각별한 관심이 요구된다”며 보건당국의 적극적인 해결책 마련을 촉구했다.


이정우 기자 woolee@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있지 유나 '반가운 손인사'
  • 있지 유나 '반가운 손인사'
  • 에스파 카리나 '민낮도 아름다워'
  • 한소희 '완벽한 비율'
  • 최예나 '눈부신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