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상승률은 3.5→3.3%로 낮춰
아시아개발은행(ADB)이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종전과 같이 1.3%로 예측했다. 수출 증가 등 상방요인이 있지만 고금리 등으로 인한 민간소비 위축 등 경기 하방요인도 상존하고 있다는 평가다.

20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ADB는 이런 내용의 ‘2023년 아시아 경제전망 수정’을 발표했다. ADB는 올해 한국의 성장률을 1.3%로 전망하며 지난 7월 전망치를 그대로 유지했다. 이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전망치 대비 0.2%포인트 낮은 수치로, 국제통화기금(IMF)·정부·한국은행(1.4%) 보다 보수적이다. ADB는 내년 한국의 성장률도 2.2%로 내다봐 종전과 같은 수준으로 전망했다.
ADB는 “한국 경제는 수출 증가 등 상방요인, 고금리와 부동산 시장 침체로 인한 민간소비와 투자 제약 등 하방요인이 혼재하고 있다”고 밝혔다.
ADB는 한국의 물가 상승률의 경우 올해는 종전보다 0.2%포인트 낮은 3.3%로, 내년은 0.3%포인트 하향 조정된 2.2%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ADB는 아시아 지역 전체의 올해 성장률은 4.7%로 제시해 7월 전망치 대비 0.1%포인트 하향 조정했다. 부동산 침체에 따른 중국 성장률 하향 조정, 글로벌 수요 감소 등을 반영했다. ADB는 중국 부동산시장의 침체, 엘니뇨로 인한 식량안보 악화, 주요 선진국의 통화정책, 금융 안정성 등을 향후 아시아 지역의 위험 요인이라고 분석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