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NYT “美 지하 수자원 고갈 심각… 농업 생산량에 큰 타격 줄 수도”

입력 : 2023-08-30 19:23:55 수정 : 2023-08-30 22:31:32

인쇄 메일 url 공유 - +

NYT, 전국 우물 수위 분석 보도

10곳 중 4곳 10년 새 역대 최저
기후변화로 강우량 크게 줄어
캔자스주 곡창지대 피해 확산
전 세계적 밥상 물가 상승 우려
주택건설 중단·싱크홀 부작용

미국 수자원의 약 90%를 담당하는 지하수가 빠르게 고갈되고 있어 향후 미 농업 생산량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2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지난해 기준 세계 옥수수 수출의 23%, 대두 수출의 32%를 담당하는 미국 농업이 타격을 입으면 전 세계적인 밥상 물가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NYT가 미 전역 8만4544개 지하수 관측 우물의 1920년 이후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이들 중 절반에서 지난 40년 동안 수위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우물 10곳 중 4곳은 최근 10년 새 역대 최저 수위를 기록했고, 지난해에는 관측 사상 가장 많은 수의 우물이 역대 최저 수위를 경신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특히 기후변화로 강우량은 줄고, 대규모 관개농업이 축적된 지하수를 소모하면서 농업지대를 중심으로 지하수가 고갈되고 있다. 미국의 대표적인 곡창지대지만 예로부터 강우량이 적어 지하수에 의존해 온 캔자스주는 벌써부터 지하수가 함유된 지층(대수층)이 바닥나기 시작해 관개농업에 어려움을 겪는 지역이 나오고 있다.

 

미 서부에서는 중앙에 스프링클러를 두고 분당 수백 리터의 물을 쉬지 않고 뿌리는 원형관개농업을 통해 옥수수 재배량을 크게 늘려왔다.

 

하지만 캔자스 땅의 절반인 약 260만에이커(1만500㎢)를 감당하는 오갈랄라 대수층이 고갈되면서 문제가 생겼다. 캔자스주 위치타카운티의 옥수수 농가 상당수가 관개농업에서 자연 강우에 의존하는 건조지농사로 전환해야 했고, 1990년대 1에이커당 평균 165∼175부셸(약 5000∼5200㎏)이었던 옥수수 생산량도 지난해 70.6부셸(약 2100㎏)까지 떨어져 60년 만의 최저치를 기록했다.

 

캔자스 지질조사국은 오갈랄라 대수층의 4분의 1 이상이 대규모 관개농업을 위한 최소 임계치에 도달해 있어 이 지역이 근시일 내로 관개농업에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내다봤다.

NYT는 미국에서 지하수 사용에 대한 연방 정부의 규제가 거의 없고, 각 주마다 규칙이 난립해 텍사스·오클라호마·콜로라도주 등에서 사실상 지하수가 고갈될 때까지 쓸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지하수 고갈은 균열·싱크홀 발생, 주택 건설 중단, 식수 부족을 야기하는 등 농업 외 분야에도 타격을 가할 것으로 분석된다.

 

메릴랜드주 찰스카운티의 계획 관리 담당 제이슨 그로스 부국장은 “(대수층) 대부분은 수천 년 된 것이다. 월요일에 비가 내리면 토요일에 채워지는 게 아니다”며 “찰스카운티는 10년 안에 물 부족 사태가 닥칠 것”이라고 우려했다.


윤솔 기자 sol.yu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최지우 '완벽한 미모'
  • 최지우 '완벽한 미모'
  • 전지현 '눈부신 등장'
  • 츄 '상큼 하트'
  • 강지영 '우아한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