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00년이 되면 히말라야의 빙하(Himalayan glaciers) 75%가 녹아 없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20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국제통합산악개발센터(ICIMOD) 과학자팀은 최근 에베레스트와 K2 등 유명 산들이 자리잡은 히말라야의 빙하 소실이 가속화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히말라야는 산맥이지만 북극과 남극 다음으로 빙하도 많다. 산맥의 골 사이에 얼어있는 얼음이 녹거나 얼면서 이 지역 강들에 물을 공급하고 있다. 빙하가 녹아 없어지는 것은 2000년대에 비해 2010년대에 그 속도가 65%나 빨라졌다.
연구진은 산업화 이전보다 지구 온도가 1.5도 또는 2도 더 더워지는 온난화를 가정하면 2100년까지 빙하의 30~50%가 사라질 것으로 보았다. 현재의 기후 정책 하에서의 가장 가능성이 높은 온도인 3도가 올라갈 경우 네팔과 부탄을 포함하는 동부 히말라야의 빙하는 최대 75% 사라진다. 4도까지 올라가면 80%가 사라진다고 보고서는 전망했다.
빙하가 깃들어 있는 힌두쿠시 산맥과 히말라야 산맥은 아프가니스탄, 방글라데시, 부탄, 중국, 인도, 미얀마, 네팔, 파키스탄을 가로질러 3500㎞에 걸쳐 뻗어 있다.
히말라야 빙하 상황은 알프스나 미국 로키산맥과는 달리 잘 알려져 있지 않았으나 지난 2019년에 미국은 1970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이 지역 빙하의 스파이 위성 사진을 기밀 해제하여 새로운 과학적 기준을 제공했다.
아울러 지난 5년간 위성 기술로 추가 자료를 얻으면서 이번 보고서는 지난 2022년 12월까지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작성됐다.
히말라야의 만년설과 빙하는 지역의 강우량, 식생 등과 유기적인 관계를 맺고 있다. 때문에 이례적인 속도로 지속되는 빙하의 해빙은 이 지역을 토대로 살아가는 이들에게 심각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된다.
보고서는 갠지스 강, 인더스 강, 메콩 강을 포함한 이 지역의 12개 강 유역의 수량이 금세기 중반쯤 절정에 이르러, 이 강에 터전을 둔 16억 명 이상의 사람들에게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았다.
연구진은 "빙하가 점점 더 빠르게 녹고 있기 때문에 지속적인 물 공급이 아닌 홍수가 발생할 것이다. 수량이 최고조가 되는 시기를 지나면, 공급은 결국 줄어들 것"이라고 우려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