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 오염 등을 주장하며 하수처리장 증설을 반대했던 해녀와 마을 주민들이 5년 8개월만에 공사 재개에 합의했다.
제주도는 20일 제주시 월정리마을회가 동부하수처리장 증설을 둘러싼 갈등을 해소하고 공사 재개에 합의해 생활하수의 안정적 처리 기반을 마련하게 됐다고 밝혔다.

오영훈 지사와 월정리마을회 김창현 회장을 비롯한 임원진은 이날 제주도청에서 공동회견을 열고, “2017년 12월 중단된 동부하수처리장 증설사업을 정상 추진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오 지사는 “월정리마을회는 지난 1월 정기총회에서 동부하수처리장 증설 반대 대책위원회를 해산하고 주민 간 입장이 엇갈리는 힘든 상황에도 월정리 미래발전위원회를 구성해 갈등 해결에 노력해왔다”고 전했다.
제주도는 동부하수처리장 증설로 해양오염이 발생하지 않도록 △방류수 24시간 모니터링을 통한 수질관리 △해양 방류관 연장(1.34㎞) △월정리 연안 생태계 조사 △삼양·화북지역 하수 이송 금지 △동부하수처리장 추가 증설 없음 △법률과 기준 내에서 마을주민 숙원사항 최대한 수용 △용천동굴 문화재구역에 영향이 없도록 철저하게 준비 △투명한 절차 진행으로 신뢰를 확보할 것을 약속했다.
이날 공동회견에 앞서 오 지사는 지난 15일 월정어촌계 사무실에서 해녀들을 만나 동부하수처리장 증설사업과 관련한 지역주민 의견을 청취하고, 마을회와 어촌계의 요청사항을 적극 수용하는 자세로 주민과 함께 상생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동부하수처리장 증설사업은 동부지역(조천·구좌읍) 생활하수를 안정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1일 하수처리용량을 현재 1만2000t에서 2만4000t으로 2배 늘리는 사업이다.
지난해 동부하수처리장 1일 평균 하수량은 1만1722t으로 시설용량의 98%를 차지할 정도로 포화상태다.
제주도는 2025년 2월 준공을 목표로 동부하수처리장 증설 공사를 재개할 계획이다.
제주도상하수도본부 관계자는 “문화재청의 증설공사 현상변경 조건부 허가 내용을 철저히 이행하고 공사 과정에서 세계유산 보호와 함께 마을주민과 긴밀하게 소통하고,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겠다”라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